TIL - 네트워크

Yuni·2023년 9월 4일
0

TIL

목록 보기
5/8
post-thumbnail

네트워크 형태

LAN (Local Area Network)

가까운 거리(Local Area)에 위치한 컴퓨터의 네트워크. 유선 케이블(UTP, STP), 적외선 링크, 무선 송수신기 등이 LAN에 속한다. 이더넷 기술을 사용하여 구축된다.

UDP VS STP

  • UDP: Unshielded Twisted Pair Wire : 이더넷 네트워크 및 전화 회선에 사용되며, 주로 데이터 전송에 사용 (범사용성⬆️, 가격⬇️)
  • SDP: Shielded Twisted Pair Wire : 외부 전자기 간섭을 줄이기 위해 각 페어 주위에 금속 피복이 있음, 전자기 간섭이 심한환경(특수환경)에서 사용 (범사용성⬇️, 가격⬆️)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LAN과 WAN 사이의 중간 범위의 네트워크. 도시나 큰 대학교 캠퍼스 등 상대적으로 큰 지역안의 장비들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WAN (Wide Area Network)

두 개 이상의 LAN 영역을 연결한 영역 (지역, 국가 또는 대륙 간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LAN 영역에 포함 되어 있지 않은 장비끼리도 WAN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다. 인터넷은 전 세계적인 WAN의 예시이다.



사용목적에 따라 분류한 네트워크 형태

인트라넷

조직 또는 기업 내부에서 사용되는 사설 네트워크. 인트라넷만 사용 시에는 외부 네트워크 통신이 불가하지만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를 통해 사설 네트워크(외부)와 통신이 가능하다.

PAN (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UWB 와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여러 개인장치에 구성된 무선 연결망. PAN은 주로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블루투스 헤드셋과 같은 개인 장치 간의 연결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영역길이가 짧다는 특징이 있다.

네트워크 영역 : PAN -> LAN -> MAN -> WAN 순



네트워크 접속장치

NIC

네트워크 통신망을 사용하기 위한 가장 기본이 되는 하드웨어.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 장치는 NIC(Network Interface Card)를 사용해 통신망 접속이 가능하다.

LAN카드 (=이더넷카드)

전송매체에 접속하는 역할. 데이터의 입출력 및 송수신, 프로토콜 처리 기능 담당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물리적 장치에는 반드시 하나 이상의 LAN카드가 있어야 한다.

인터넷을 사용할 때 쓰는 2가지 필수 주소

  1. Physical Address: MAC 주소 NIC를 제조할 때 부여된 주소 (LAN 내에서만 사용) => 이더넷 프로토콜
  2. Logical Address: IP 주소 (바뀔 수 있는 주소로 인터넷 목적으로 사용)

MAC (Media Access Address)

실제 네트워크 통신 시 하드웨어가 사용하는 주소
LAN카드에 있는 고유의 48비트(=6byte) 식별코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A~F까지 10부터 15까지 표현한 16진수를 사용한다.

  • 앞 24비트: LAN 칩셋의 제조사
  • 뒤 24비트: 유일한 제품 고유번호


통신방식

범위에 따른 통신 방식

  • 유니캐스트 (Unicast) :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1:1 통식 방식 ➡️ 여러사람에게 통신하기 어려움
  • 브로드캐스트 (Broadcast) :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 있는 모든 단말기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 내가 필요하지 않아도 수신해야 함
  • 멀티캐스트 (Multicast) :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특정 그룹 단말기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방식 ➡️ 하나 데이터를 만들어 필요로하는 특정 그룹/사람에게만 전송

전송방향에 따른 통신 방식

  • 단방향(Simplex) 통신: 라디오, 아날로그 TV, 키보드, 모니터 등
  • 양방향(Duplex) 통신: 전화, 인터넷 등
    • 반이중(Half-Duplex): 한 쪽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다른 쪽은 데이터를 수신
    • 전이중(Full-Duplex): 두 쪽 모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


🔄️OSI 7 LAYER

1 Layer: Physical (물리적 계층)

NIC가 있는 계층. 실제 네트워크의 물리적 형태인 Topology를 규정하여 데이터의 전기적 흐름에 따라 전송하는 계층

유일하게 이더넷에서 테일까지 붙는 계층. 스위칭, 이더넷, 노드 간 통신을 위해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

3 Layer: Network (네트워크 계층)

라우팅(길을 찾는)역할.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패킷 전달

4 Layer: Transport (전송 계층)

물리적 위치를 논리적주소와 이름을 이용해 연결/종료 방식 정의 (TCP - 세그먼트 / UDP - 데이터그램)

5 Layer: Session (세션 계층)

표현계층과 전송계층을 이어주는 세션 연결/종료 관리

6 Layer: Presentations (표현 계층)

데이터를 변환하는 계층 압축, 암호화 <> 압축풀기, 복호화 작업 진행

7 Layer: Application (응용 계층)

사용자가 네트워크 관련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계층



Hub vs Switch

Hub

전송신호를 중앙으로 부터 확장하여 서버나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연결해주는 "단순"장치. 따로 정해진 차선없이 전송
➡️ 1계층, 반이중, 충돌 잦음

Switch

입력단자로 부터 "프레임"을 받아 적절한 출력 단자(포트)로 신속히 보내주는 장치. 인터페이스 마다 별도 차선으로 전송, 로딩이 걸릴 시 큐에 담아 놓는다.
➡️ 2계층, 전이중, 속도 빠름



TCP / IP

이더넷(Ethernet)

2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LAN구간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킹 방식 중 하나로 다른 방식으로는 Token ring(단방향, 링1개), FDDI(단방향, 링 2개) 방식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90%이상 이더넷 방식으로 네트워킹한다.

profile
Look at art, make art, show art and be art. So does as code.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