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프로젝트 회고 - wePlan

Junho Yun·2022년 12월 28일
0

sparta

목록 보기
3/4

1. 프로젝트 : wePlan 회고

프로젝트 소개: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나요?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서 진행 사항을 체크하는 것을 매우 중요한 일 입니다.

업무 관리 시 WePlan 스케줄링을 사용하면, 프로젝트 진행에 많은 도움을 줄 것 입니다.

칸반이란

칸반(Kanban)은 단계별 작업 현황을 column 형태의 보드로 시각화하는 프로젝트 관리 방법을 말합니다.

각각의 열은 작업 단계를 나타내며, 열마다 개별 작업을 나타내는 카드가 표시됩니다. 칸반 보드를 통해 작업이 시작되어 완료될 때까지 단계별로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팀의 협업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2. 역할 및 느낀점

윤준호 : 인간, 의견 조율, 배포 관리

  • 부족한 실력에 팀장은 맡았지만, 다들 열심히 해줘서 무한 감사,
  • git flow를 최대한 사용하려 했던 부분이 좋았습니다.

김상현 : 인간 Stack overflow

  • 설계를 어느 정도 하고 착수해서 진행이 수월해졌습니다.
  • 바로 merge하지 않고 PR을 통해서 merge를 진행했습니다. 다른 코드를 확인하고 병합하는 방법이 좋았습니다.

홍희진 : 발표 자료 작성

  • 깃으로 협업하는 것.. 이제 두렵지 않아요..
  • 프로젝트 기초 셋업을 함께 만들어서 시간도 단축된 것 같고 개념에 대한 이해도도 올라갔습니다.
  • 앞으로 협업은 이렇게 해야겠다는 인식을 심어준 프로젝트가 된 것 같아요 🥹

임홍구 : 시연 영상 녹화

  • 훌륭한 팀원들을 만나 많이 배우는 계기가 되었고 깃을 통한 협업이 얼마나 유용한지 알게되었습니다.
  • 리덕스 툴킷, thunk부분을 더 공부해봐야 할것 같고 프로젝트는 끝났지만 코드를 자세히 리뷰해보면 많은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박휘인 : 발표

  • 항상 개인 저장소에 Push하기만 하였는데, Git 협업에 있어서 많은 배움이 있었던 프로젝트였습니다.
  • 컨벤션 규칙에 따라 처음 진행해보았는데, 상황마다 기준이 잡혀있어서 너무 좋았습니다.
  • 기능별 Branch를 따로 만들어서 진행하였는데, 충돌이 일어났을 때도 금방 복구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모자란 실력으로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는데, 팀원분들이 너무나 잘 배려해주고 친절하게 알려주셔서 진행 기간동안 감사했습니다. 개인 성장 욕구에 있어서 더 자극 받을 수 있었습니다.

3. Keep

github

  • 깃헙 이슈 별로 브랜치 관리 한 것, wiki 등 협업할 때 너무 편리했다.
  • PR을 통해 merge 진행하는 것은 좋습니다. 중간에 git push로 원격 브랜치를 공유하고
  • 깃허브 컨벤션을 지켜서 커밋 하는 것.

진행

  • 와이어프레임을 상세하게 작성한것
  • 주요 기능 코드를 따로 정리해서 기록해놓기.
  • 프로젝트의 폴더 구조를 모두에게 이해 시켰습니다. 모두에게 공유하면서 진행했습니다. 폴더에 정리하는 문제가 거의 없었습니다.

4. problem

코드 구현 (개인)

  • 삭제나, 유효성 검사에 마감에 쫒겨서 제일 쉬운 alert으로 구현한 게 아쉽다.
  • 다른 사람의 보드까지 편집, 삭제를 허용한 부분 →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하고싶었는데 구현을 못한 점..
  • 리덕스 툴킷으로 변환하는부분과 thunk부분이 이해하기 힘들었음
  • git 사용법이 미숙해서 계속 햇갈렸음

진행 (협업)

  • 기반 공사를 모두에게 공유하면서 진행하니까 시간당 작업 효율이 1/5로 감소했습니다. 기반 작업 진행하면서 하루동안 설계하는 사람이외 대부분의 사람들이 정지되어 있었습니다.

5. try

  • 리팩토링 하는 기간을 염두에 두고 프로젝트를 진행해야겠습니다. (유효성 검사 시 alert창 대신 React Hook Form 과 모달 만들어서 리팩토링 하면 될 것 같다.)

  • 작업 정지를 막기 위해서 각자 설치하고 어느정도 작업을 진행합니다. 해당한 파일만 복붙하는 방식으로 컴포넌트를 추가하는게 더 효율적일 것 같습니다.

  • 기본기를 탄탄하게 가져가서 프로젝트를 진행해야겠습니다

6. 개인의 노력

  • 클론 코딩 및 다른 만들어보기 프로젝트 같은 것들을 외부 자료에서 찾아서 해보는 방향으로 숙련도를 높혀야 할 필요가 있을 것 같음.
  • 깃허브 컨벤션 지켜서 커밋하는 것 잊지 않고 다음 프로젝트 때도 규칙 지키기.
  • 데이터 통신 및 Redux를 포함한 모든 학습내용이 낯설다. 당장 유튜브 및 강의 내용 참고하여 손코딩 해보기.
  • 심화강의 한번더 수강하기
  • 프로젝트 복습하기
  • git강의 수강하기
  • 추후 진행에선 유효성 검사 시 alert창 대신 React Hook Form 과 모달 만들어서 리팩토링 하면 될 것 같다.
profile
의미 없는 코드는 없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