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Framework 에서 자바 기반의 설정을 통해 Bean 을 정의하는 데 사용됨.이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메서드를 통해 Spring IoC 컨테이너에 Bean을 등록할 수 있음빈 등록@Bean 어노테이션이 붙은 메서드는 Spring 컨테이너에 의해 호출되며
설정 클래스 지정@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는 Spring의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에 의해 빈 정의를 위한 설정 클래스로 인식됨.이 클래스는 Spring Bean 을 정의하고 설정하기 위해 사용됨Bean 등록이 클래스 내에 정의된 @Bean 메서드
Spring Framework 에서 Bean의 범위를 정의하는데 사용됨이 어노테이션을 통해 Bean 이 생성되고 관리되는 범위(라이프 사이클)를 설정할 수 있음. 기본적으로 Spring은 모든 빈을 싱글턴으로 관리하지만, @Scope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빈의 범위를
Spring Framework에서 컴포넌트를 자동으로 스캔하여 Spring 컨테이너에 빈으로 등록하는 데 사용됨. 이 어노테이션은 주로 @Configuration 클래스와 함께 사용되어, 지정된 패키지에서 컴포넌트 클래스를 검색하고 빈으로 등록함기본적으로 @Compon
Spring Boot 에서 자동 구성(auto-configuration) 을 활성화 하는데 사용됨. Spring Boot 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을 자동으로 구성하고, 개발자가 명시적으로 설정하지 않은 많은 기본 설정을 제공하여 신속한 개발을 지원함.이 어노테이션은 @C
Spring 에서 외부 프로퍼티 파일을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에 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을 제공. 이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를 외부 파일로부터 읽어와 @Value 어노테이션 등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부분에서 사용할 수 있음프로퍼
@Profile 은 Spring Framework의 어노테이션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을 다양한 환경에서 다르게 구성할수 있게 도와줌. 이를 통해 개발, 테스트, 프로덕션 등 서로 다른 환경에서 서로 다른 빈(Bean)을 로드하거나 활성화할 수 있음환경에 따른 빈 등록
Spring Framework 에서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을 자동으로 처리해주는 어노테이션. Spring IoC(제어의 역전) 컨테이너를 통해 관리되는 빈(Bean) 의 의존성을 자동으로 주입할 수 있게 해줌자동 의존성 주입 : @Auto
Spring Framework 에서 의존성 주입의 특별한 형태를 처리할 때 사용됨.주로 prototype 스코프 빈을 singleton 스코프의 빈에 주입하고자 할 때 사용됨.@Lookup 을 사용하면, 매번 주입 시마다 새로운 prototype 빈 인스턴스를 반환할
Spring Framework 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어노테이션으로, Spring 컨테이너에 의해 관리되는 빈(Bean) 을 정의할 때 사용됨.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클래스에 붙이면, 해당 클래스는 Spring의 자동 스캔(auto-scanning) 매커니즘
Spring Framework 에서 서비스 계층(Service Layer) 에 속하는 클래스에 붙여 사용됨. 이 어노테이션은 @Component 의 특수한 형태로, 주로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는 클래스에 사용됨. Spring 컨테이너는 @Service 가 붙은 클래스를
Spring Framework 에서 데이터 액세스 계층(DAO, Data Access Object) 에 속하는 클래스에 사용됨. 이 어노테이션은 주로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작용을 담당하는 클래스에 붙여지며, Spring이 데이터 액세스 관련 예외를 관리하도록 도와줌DAO
Spring MVC 에서 주로 사용되는 어노테이션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요청을 처리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생성하는 클래스에 사용됨. 주로 웹 요청을 처리하고, 모델 데이터를 준비하여, 사용자에게 반환할 뷰를 선택하는 역할을 함웹 요청 처리@Controller 는 H
Spring Boot 어플리케이션의 시작점을 정의하는 어노테이션. 이 어노테이션은 여러 다른 어노테이션을 조합하여 Spring Boot 어플리케이션의 기본 설정을 간소화하고, 자동 설정 기능을 제공함@SpringBootApplication 은 세 가지 어노테이션을 포함
Spring Framework 와 Spring Boot 에서 제공하는 조건부 어노테이션 중 하나로, 특정 클래스가 클래스패스(classpath) 에 존재할 때만 해당 빈(bean) 정의가 활성화되도록 함. 이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클래스패스에 특정 라이브러리나 클래스
Spring Framework 와 Spring Boot 에서 제공하는 조건부 어노테이션으로, 특정 속성(property) 의 존재 여부나 값에 따라 빈(bean)의 등록 여부를 결정함. 이 어노테이션은 어플리케이션의 외부 설정 파일(application.properti
Spring Framework 에서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으로, 주로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RESTful 웹 서비스를 구현할 때 사용됨. 이 어노테이션은 @Controller 와 @ResponsBody 를 결합한 형태로, Spring MVC 에서 HTTP 요청을 처리하고 J
Spring Framework 에서 사용되는 어노테이션으로, HTTP 요청 핸들러 메서드의 반환값을 HTTP 응답 본문으로 직접 전송하도록 지정하는 역할을 함. 이 어노테이션은 주로 JSON, XML 등의 데이터를 반환할 때 사용됨응답 본문에 직접 데이터 출력 : @R
Spring Framework 에서 사용되는 어노테이션으로, 프로퍼티 파일이나 시스템 환경 변수, 스프링의 빈 정의에서 특정 값들을 주입하기 위해 사용됨. 이 어노테이션은 스프링의 의존성 주입 기능의 일부로, 주로 어플리케이션 설정값이나 환경 변수를 클래스의 필드에 주
Spring Framework 에서 사용되는 어노테이션으로, 의존성 주입 시 여러 빈(Bean) 중에서 특정 빈을 선택하여 주입하기 위해 사용됨. 주로 @Autowired 와 함께 사용되며, 동일한 타입의 여러 빈이 존재할 때 어떤 빈을 주입할지 명확히 지정하는 데 활
Spring Framework 에서 제공하는 어노테이션으로, HTTP GET 요청을 처리하는 메서드를 정의하는 데 사용됨. 이 어노테이션은 Spring MVC 컨트롤러에 사용되어 웹 어플리케이션의 특정URL 경로에 대한 GET 요청을 매핑함@GetMapping 어노테이
Spring MVC 에서 HTTP 요청을 특정 메서드에 매핑하는 데 사용하는 어노테이션.HTTP 요청을 URL 패턴과 요청 메서드(GET, POST 등)를 기반으로 컨트롤러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음.@RequestMapping 을 메서드에 사용하여 HTTP 요청을 처리
Spring Framework 에서 사용되는 어노테이션으로, HTTP POST 요청을 처리하는 메서드를 지정하는 데 사용됨. Spring MVC의 컨트롤러에서 주로 사용됨.이 어노테이션은 @RequestMapping 의 축약형으로, method = RequestMeth
Spring Framework 에서 HTTP PUT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노테이션.주로 리소스를 업데이트할 때 사용되며, @RequestMapping(method = RequestMethod.PUT) 의 축약형@RestController 는 이 클래스가 RE
Spring Framework 에서 HTTP DELETE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노테이션.주로 리소스를 삭제하는 작업에 사용되며, @RequestMapping(method = RequestMethod.DELETE) 의 축약형@RestController 는 이
Spring Framework 에서 HTTP PATCH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노테이션. 주로 리소스의 일부를 수정할 때 사용됨. @RequestMapping(method = RequestMethod.PATCH) 의 축약형으로, 기존 리소스를 부분적으로 업데이
Spring Framework 에서 발생한 특정 예외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노테이션.특정 예외가 발생했을때, 그 예외를 처리하는 메서드를 지정할 수 있음주로 Spring MVC에서 컨트롤러 계층에서 발생하는 예외를 처리할 때 많이 사용됨@ExceptionHandl
Spring Framework 에서 사용되는 어노테이션으로, HTTP 요청의 쿼리 파라미터나 폼 데이터 값을 메소드 파라미터에 매핑할 때 사용됨. 주로 GET 요청에서 URL 쿼리 파라미터를 처리할 때 많이 사용되지만, POST 요청에서도 사용할 수 있음.예를 들어,
Spring Framework 에서 URL 경로의 일부를 메소드 파라미터로 매핑할 때 사용되는 어노테이션.RESTful 웹 서비스에서 자원 식별자와 같은 값을 URL 경로에서 추출할 때 자주 사용됨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URL 요청이 있을 때이 요청에서 123 이라는
Spring Framework 에서 전역적으로 예외를 처리하거나, 특정 컨트롤러 클래스에 대한 공통 기능을 제공할 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ControllerAdvice 를 사용하면 여러 컨트롤러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될 로직을 한 곳에 모아 관리할 수 있음예외 처리(@E
Spring MVC에서 컨트롤러 메서드의 매개변수나 반환 값을 뷰(View) 에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노테이션.컨트롤러의 매개변수로 전달되는 객체를 초기화하거나, 모델(Model) 에 데이터를 바인딩 할 때 사용됨메서드 레벨 : 모델에 데이터를 추가하여 뷰에서 사용
Spring MVC 에서 사용되는 어노테이션으로, 특정 컨트롤러 내에서 바인딩 설정을 사용자 정의할 때 사용됨. 주로 폼 데이터를 객체로 바인딩할 때, 그 데이터를 변환하거나 유효성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커스터마이즈된 설정을 할 수 있음커스텀 에디터 등록 : 특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