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velog.io/@ghk4889/mybatis%EC%9D%98-custom-typehandler-%EB%A7%8C%EB%93%A4%EA%B8%B0JAVA-Enum-%ED%83%80%EC%9E%85mybatis 공식 : https:
Statement\- 데이터베이스 연결로부터 SQL문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클래스\- executeQuery() : SELECT문 수행 시, 반환 값은 ResultSet\- executeUpdate() : UPDATE, DELETE와 같은 문 수행 시, 반환 값은
resultType에서 List 부분의 경우 List을 전달 하는 것이 아니라 결과 형(String, Map 등등)을 전달 하는것이다.
disable SerializationFeature.FAIL_ON_EMPTY_BEANS에러 발생 위치 : 스프링 부트에서는 기본적으로 Jackson 라이브러리가 탑재(?)되어있는데 - Serialize 하는 과정에서 접근 제한자가 public이거나 Getter/Sett
AOP 공부하기AOP 파헤치는 이유이번에 새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API 생성하기)모든 API 로그들을 DB에 저장하기로 했다. 근데 이거 처음해보는 거임. 로그를 DB에 저장을 하다니?DB 과부하 안걸려?????아무튼 시간, 날짜, 결과, status code, p
JPA 프로젝트를 진행할때 짧은 쿼리문 두개를 네이티브 쿼리를 이용해 작성을 했었다. 헌데 이것은 정말 JPA를 너무 모르고 썼다는 증거임쿼리문 쓰기 싫어서 나온게 JPA인데 네이티브 쿼리를 쓰다니!!!!그럴거면 뭣하러 JPA를 쓰냐그럼 네이티브 쿼리 말고 다른거 뭐
알아보니 단점이 치명적이라 잘 안 쓰는것 같았다.단점 : ETag의 문제점은 해당 값이 서버당 하나이기 때문에 여러 서버로 운영되는 서비스일 경우 값이 일치하지 않게 된다.HTTP response의 ETag(Entity Tag) 헤더는 주로 다음과 같은 이유로 사용됩니
알아보니 단점이 치명적이라 잘 안 쓰는것 같았다.단점 : ETag의 문제점은 해당 값이 서버당 하나이기 때문에 여러 서버로 운영되는 서비스일 경우 값이 일치하지 않게 된다.HTTP response의 ETag(Entity Tag) 헤더는 주로 다음과 같은 이유로 사용됩니

출처 : https://velog.io/@ghk4889/mybatis%EC%9D%98-custom-typehandler-%EB%A7%8C%EB%93%A4%EA%B8%B0JAVA-Enum-%ED%83%80%EC%9E%85mybatis 공식 : htt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