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acro란

yunuyununu·2025년 6월 25일
0

개발 상식

목록 보기
17/17

Nexacro

기업용 웹 애플리케이션을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HTML5 기반의 UI 프레임워크이다. 주로 대기업,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에서 내부 업무 시스템 구축에 사용되며, 리치하고 복잡한 UI를 빠르게 개발할 수 있는 점이 강점이다.

주요 구성 요소

  1. Nexacro Studio
  • 개발 도구 (IDE)로, Drag & Drop 방식으로 UI를 구성할 수 있음
  • JavaScript와 유사한 스크립트 언어 사용
  • XML 기반의 폼(Form) 파일로 구성
  1. RuntimeEngine
  • 개발한 앱을 실행시키는 클라이언트 엔진
  • HTML5 기반 웹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며, 별도 설치 없이 실행 가능
  • 구버전에서는 ActiveX 기반 엔진도 있었음
  1. XPLATFORM(과거) vs Nexacro(현재)
  • XPLATFORM은 ActiveX 기반
  • Nexacro는 HTML5로 전환되면서 브라우저 호환성, 모바일 대응 강화됨

개발 구조 및 특징

  • 폼(Form) : 화면 단위 컴포넌트로 구성 (ex, LoginForm.xfdl)
  • 컴포넌트 : grid, button, edit, calendar 등 다양한 UI 요소 제공
  • 데이터셋(dataset) : 서버-클라이언트 간 데이터 송수신의 핵심 구조
  • Script : 각 컴포넌트의 이벤트 처리 로직 정의
  • Service 호출 : 외부 REST API 또는 WAS(Spring, Java, .NET 등)와 연동

장점

  • 빠른 개발 속도 : Drag & Drop으로 UI 개발 가능
  • 복잡한 UI 표현 가능 : Grid, 차트, 입력폼 등 엔터프라이즈급 UI 컴포넌트 제공
  • 서버 연동 편리 : Dataset 기반의 데이터 연동 구조 제공
  • 다양한 플랫폼 지원 : HTML5 기반으로 모바일, 데스크탑, 태블릿 대응
  • 정형화된 개발 구조 : 초보 개발자도 빠르게 익힐 수 있음

단점 및 고려사항

  • 학습 곡선 : 전용 구조와 문법(Nexacro Script)을 익혀야 함
  • 개발 자유도 제한 : 커스터마이징이 어렵거나 복잡한 경우 있음
  • 오픈소스 아님 : 상용 제품으로 라이선스 비용 발생
  • 디버깅 불편 : 개발 환경에서는 디버깅이 어렵다고 느끼는 경우 많음
  • 웹 표준 한계 : HTML5 기반이지만 내부 구조는 표준 JS/CSS에서 벗어난 부분 존재
profile
코딩이의 끄적끄적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