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 환경에서 편집기로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으로는 nano 와 vi 가 있다.
이 두 편집기들은 리눅스와 유닉스 기반의 운영체제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vi 는 중고급자들이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일단은 nano를 사용해보자.
nano 편집기를 실행하는 법은 단순하다.
명령창에 간단하게 입력하면 된다.
ec2-user:~/environment $ nano
실행하고 나면 다음과 같이 빈 공간과 메뉴와 같은 선택지를 볼 수 있다.
밑의 ^G 같은 명령키는 키보드의 컨트롤 버튼과 함께 알파벳을 누르라는 뜻이다 (CTRL + G).
두 가지 해결 방법이 있다.
✔ ctrl 대신에 esc 버튼을 두 번 누르고 O 나 W를 입력한다.
✔ ctrl 대신에 alt+ctrl 를 누른 상태에서 O나 W를 입력한다.
작성을 마쳤다면 ^O Write Out 명령어를 통해 파일 이름을 지정할 수 있고 해당 이름으로 파일이 저장된다.
▪ ^K Cut Text는 잘라내기 ^U Uncut Text는 붙여넣기와 같다.
▪ ^G Get Help는 nano 메뉴얼을 불러온다.
▪ ^W Where Is는 원하는 단어를 찾을 때 사용한다.
vi 를 사용하는 게 더 편하긴 한데 리눅스에 익숙해질 때 까지는 nano로 연습하는 게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