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의 특징 및 개발환경

yyj·2022년 1월 20일
0

.

목록 보기
1/21
  • 1990년도 개발 (처음에는 교육용 목적으로 만들어짐)
  • 쉽게 프로그램에 적응 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프로그래밍 언어
    ✔ 자료구조, 데이터 핸들링이 쉬움
    ✔ 시대의 흐름에 따라 데이터 분석, 처리 AI 쪽으로 적합한 언어로 각광
    ✔ 무료로 사용 가능
    ✔ 가독성이 높은 코드
    ✔ 다양한 분야에 이용이 가능, 하지만 데이터 처리쪽에 치중.

Python 개발환경 설정

  1. 사용하는 컴퓨터에 Python 설치
    • 통합개별환경(IDE)을 설치해서 프로그램 작성 [ 여러가지 IDE 존재]
    • "Visual Studio Code", "PyCharm"을 많이 사용
  1. Anaconda 환경에서 Jupyter Notebook 이용
    • Anaconda : Python으로 데이터 분석쪽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한 개발환경
      • 가상환경을 만들어서 사용
        ✔ 일반 파이썬 프로그램
        ✔ Web Program
        ✔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
      • 각 프로그램마다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달라짐

Anaconda Prompt 실행

  1. 기본적으로 base 가상환경을 사용가능

  2. 새로운 가상환경을 만들기 (가상환경 이름은 data_env로 설정 함)

    conda creat -n data_env python = 3.8 openssl

  3. 현재 존재하는 가상환경 list 확인

    conda info --envs

    가상환경 앞에 *은 현재 선택된 가상환경을 의미

  4. 방금 생성한 가상환경으로 전환

    conda activate data_env

  5. 현재 가상환경(data_env)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설치

    conda install nb_conda

  6. Python은 이미 data_env 가상환경안에 설치 했으니 IDE만 준비 하면됨

    • Web 기반의 Jupyter Notebook 사용!
    • Jupyter Notebook을 사용하기 위한 환경 설정 필요
    • 환경 설정 파일 생성해서 내용 수정하면 된다.

      jupyter notebook --generate--config
      -내용 수정후 파일을 닫음

  7. IDE(jupyter notebook)을 실행

    • jupyter notebook의 파일은 확장자가 .ipynb를 가짐
    • 즉, 순수 Python 파일이 아니라 jupyter notebook에서만 사용 가능한 파일
    • 순수 Python 파일은 확장자가 .py로 붙음
  8. jupyter notebook의 기본 사용법(a,b,dd,ctrl+enter)정도는 기억 해야 함

    • 새로운 cell을 만들려면 above, below == a(셀 위에 생성), b(셀 아래에 생성)
    • dd == cell 삭제
    • ctrl + Enter == cell안의 코드를 실행
  9. Jupyter notebook의 단점

    • Web 기반의 IDE이다 보니 assist와 같은 기능이 잘 안됨
    • assist는 자동완성을 의미
    • 하지만 Pycharm은 독립적인 Tool이기 때문에 assist 기능이 좋음
    • 때문에 Pycharm과 Anaconda JupyterNotebook을 같이 사용
profile
초보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