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해99 12기 1주차 WIL

HEUKWU·2023년 1월 15일
1

이번주는 OT주차로 웹개발 종합반 완주팀, 토이 프로젝트 팀으로 나눠서 진행한다. 나는 시작하기 전 웹개발 종합반 강의를 이미 두번 들었기 때문에 토이 프로젝트 팀을 선택했다. 처음하는 프로젝트라 걱정반 기대반 속에 새로운 팀원들을 만났다.
항해 시작 전 가장 걱정되는게 새로운 사람들을 계속 만나야한다는 것이었다. 자기주장이 확실하거나 이기적인 사람들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았던 기억이 있어서 새로운 인연을 쌓는데 있어서 거부감이 살짝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혼자 살 수는 없는 법이니까 그런 사람들과도 어울릴 수 있는 법을 터득해야 한다. 또한 나도 그런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상기하면서 항상 겸손한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 항해를 선택한 이유에도 많은 팀프로젝트로 새로운,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면서 이참에 인간관계 기술도 쌓자는 생각이 있었다.
다행히도 이번 팀은 굉장히 좋은 분들로만 구성되었다. 일단 다들 너무 착하다. 항상 칭찬과 응원을 아끼지 않으면서 서로 좋은 영향력을 주고받았다. 항해 수료까지 이팀으로 가도 될 것 같다는 생각까지 했다.

다들 처음하는 프로젝트라 한동안은 아무런 진전없이 막막하게 앉아있기만 했다. 그러다 아이디어를 주고받고 프로젝트 구상을 시작했다.
웹개발 종합반 실습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게 게시물을 등록하면 페이지에 게시되는 작업이었다. 먼저 시작하기에 앞서 API를 설계해야 했다.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 간단하게 생각해서 프로그램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법이라고 보면 될 것 같다. 즉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를 어떤 요청메서드로 어떤 자료를 주고받을 것인지 등을 정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간단하게 GET/POST 방식만 사용했는데 게시물을 등록하거나 좋아요를 누를때는 POST, 페이지에 게시하고 순위를 나타낼 때는 GET방식을 사용하도록 설계했다.
항상 헷갈리는게 GET/POST인데 간단하게 생각해서 데이터를 조회할 때는 GET,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변경, 삭제할 때는 POST를 쓴다고 생각하면 된다.

API설계를 하면서 API명세서라는 개념도 알게 되었는데 API를 설계한 내용을 일관된 형식으로 정리한 것이다.

기능MethodURLrequestresponse
좋아요 기능POST/likenum좋아요 반영
블로그 조회GET/showname, vlog_url, num, like, comment5블로그 리스트
블로그 크롤링POST/tilname, comment5, title, img, desc, num, like성공여부, 블로그 정보
블로그 순위GET/rankinglike, name, vlog_url, title성공여부, 블로그 정보

원래는 API명세서없이 설계를 했었는데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니 확실히 필요성을 느꼈다.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질수록 API설계는 복잡해질 것이고 그에 따른 체계적인 명세서가 필요할 것이다.

기본적인 아이디어 구상과 API설계, git을 활용한 협업까지 모두 일사천리로 완벽하게 진행되지는 않았지만 큰 탈없이 프로젝트를 마무리 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건 여러가지 문제들을 만나면서 해결하는 과정속에서 나를 비롯한 팀원들 모두가 많이 성장했다는 것이다.

아직 시작한지 일주일밖에 되지 않았지만 내가 보낸 이번주는 지금까지 살면서 보냈던 시간중에 가장 의미있는 시간이었다고 확신할 수 있다. 하루하루를 시간가는줄 모를정도로 어딘가에 몰입한다는 건 정말 뜻깊은 경험이었다. 또한 자고일어나서 당장 내일 무언가 할일이 있다는 것만큼 행복한 것은 없는 것 같다. 학교 졸업 후 아무 일없이 그냥 보내는 날이 많았는데 이번 한주는 정말 내가 살아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리고 역시 이 모든게 가능했던 건 항상 (온라인이지만) 옆자리를 지키며 앉아있는 팀원들과 어떻게든 도움 주려고 밤낮으로 노력하는 메니저님들, 이 모든 환경을 만들어준 항해 덕분이었다.

앞으로 한참 남았지만 지금은 과하다 싶을 정도로 자신감이 충만한 상태이다. 끝까지 초심잃지 않고 열심히 할 것이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