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copy의 진화된 버전, 디렉터리를 미러링하거나 동기화 하는데 사용된다.
/MIR
옵션이 핵심인데, [복사해야될 내용] [복사한 내용] 으로 지정하면, 이미 저장되어 있는 파일 목록을 검사한 후, 원본에 없는 파일/디렉터리를 제외하는 형식으로 동일하게 미러링 된다.
/MT
옵션)
robocopy
[original_dir]
[target_dir]
[option]
/E
: 비어 있는 디렉터리를 포함하여 하위 디렉터리를 복사합니다.
/PURGE
: 원본에 없는 대상 파일/디렉터리를 삭제합니다.
/COPYALL
: 모든 파일 정보를 복사합니다. /COPY:DATSOU와 동일합니다.
/MIR
: 디렉터리 트리를 미러링합니다. /E + /PURGE와 동일합니다.
/MAXAGE
:n: 최대 파일 사용 기간 - n일/날짜보다 오래된 파일을 제외합니다.
/MINAGE
:n: 최소 파일 사용 기간 - n일/날짜보다 최신 파일을 제외합니다.
/XJ
: 연결 지점을 제외합니다. 일반적으로 기본값으로 포함됩니다.(무한루프 방지용)
/LOG
:file: 상태를 로그 파일에 출력합니다. 기존 로그를 덮어씁니다.
/LOG+
:file: 상태를 로그 파일에 출력합니다. 기존 로그에 추가합니다.
robocopy
의 옵션들을 응용하면 엑세스 권한 문제로 백업이 힘든 내부 프로그램, 패치파일 등도 구조와 권한을 유지하면서 쉽게 통째로 복사 가능하다.
pc를 포멧하게 된 김에, 메인 ssd 를 파티션하여 os를 C, 메인 프로그램을 F로 나눠 저장해 관리하려고 했다.
원래 window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문서','비디오','사진','다운로드' 는 '다른 드라이브에 저장하기' 기능이 있어서 상관 없었는데, 이번에는 포멧한김에 Program Files와 Users 파일 까지 F로 옮기는 방법이 있을까 하여 시도해 보았다.
결론만 말하자면, 아래 3가지 방법은 모두 실패했다..
rd
나 mklink
는 엑세스 거부로 안되서 다시 PE로 들어가 명령어를 전부 실행하니 window가 무한 준비중상태로 시작이 안된다... 결국 실패.. 위 문제들이 내가 Windows 10 Edu 버전을 사용해서 발생하는 문제인지는 확인 하지 못 했다.
인터넷에 위 방법들로 해결봤다는 글이 몇개 있었는데, 주로 윈도우 8이하 환경에서 진행된 방법이고 사후 업데이트나 어플리케이션 사용시 문제가 없다는 확신까지는 없는 것 같아 그냥 현 상태로 만족하기로 했다..
윈도우 설치만 6번넘게 한 것같다. 그냥 BIOS 업글했다 생각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