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man에서 restAP에 대해서 작업을 하는데
send
의 버튼을 누르고,
connect request과 response를 기다리는데....
아무것도 오지 않았다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이런상황에서는 GPT
와 구글링
의 도움을 받아야지....
아직 GPT의 손길을 떼어내려하는데 쉽지 않다... 구글링보다 GPT로 가는 내자신... 이런 습관은 지양하는것이 좋겠다. 라는 생각을 이번 블로그 내용에 적어내려가면서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됐다.
✅ 결론은 URI의 내용에 https:// blah blah의 값으로 send를 했다는 것이 나의 실수였다.https 환경을 셋팅하지 않은 로컬에서 http의 환경으로 테스트를 해야하는데 내가 이걸 간과한 것이다.
정리
⚠️ 에러의 원인 : 내가 테스트하고자 하는 API는 http 만 지원하는데, https로 POST method 요청을 한 것이 원인
✅ 문제의 해결방법 : postman에서 요청 시, https가 아닌 http로 api 테스트를 해서 통신이 된 것을 확인함.
생각보다 구글링을 하면 많은 선배 개발자분들의 발자취가 있다.
참고로 해당 내용의 원리 근본은 아래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
- SSL 인증서 확인:
Postman이 요청을 보내는 서버의 SSL 인증서가 유효한지 확인하세요. 만약 인증서가 만료되었거나 신뢰할 수 없는 인증서인 경우, SSL 연결이 실패할 수 있습니다.- SSL/TLS 버전 확인:
Postman 설정에서 SSL/TLS 버전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오류 메시지에 언급된 WRONG_VERSION_NUMBER와 관련된 문제는 SSL/TLS 버전 불일치일 수 있습니다.- Postman 업데이트:
Postman 앱이 최신 버전인지 확인하세요. 최신 버전은 다양한 보안 및 호환성 업데이트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SSL 인증서 검증 해제:
Postman 설정에서 SSL 인증서 검증을 일시적으로 해제하고 다시 시도해 보세요. 이렇게 하려면 Postman의 설정으로 이동하고, "General" 탭에서 "SSL certificate verification" 옵션을 해제하세요. 이렇게 하면 보안에 취약해질 수 있으므로, 실제 운영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ostman 프록시 설정 확인:
Postman이 프록시를 통해 연결하는 경우, 프록시 설정을 확인하고 문제가 있는 경우 수정하세요.- 운영체제 및 네트워크 설정 확인:
운영체제와 네트워크 설정에서 SSL/TLS 관련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세요. 특히, 중간에 프록시나 방화벽이 있는 경우 이를 고려해야 할 수 있습니다.
덕분에 딸깍 해결 하고 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