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형 DB는 객체지향 언어에서 다루는 상속이라는 개념이 없다. 대신 슈퍼타입과 서브타입 관계라는 모델링 기법이 객체의 상속 개념과 가장 유사하다.슈퍼타입 서브타입 논리 모델을 실제 물리 모델인 테이블로 구현시 3가지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각각의 테이블료 변환: 위의
다대일 관계의 반대 방향은 항상 일대다 관계이고 일대다 관계의 반대 방향은 항상 다대일 관계다. DB 테이블의 일, 다 관계에서 외래키는 항상 다쪽에 있다. 따라서 객체 양방향 관계에서 연관관계의 주인은 항상 다쪽이다.양방향 연관관계는 항상 서로를 참조해야 한다.양쪽에
엔티티들은 대부분 다른 엔티티와 연관관계가 있다. 그런데 객체는 참조를 사용해서 관계를 맺고 테이블은 외래키를 사용해서 관계를 맺는다. 기본개념에서 보았듯 이 둘은 완전히 다른 특징을 가진다.객체 관계 매핑(ORM)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 바로 이 객체 연관관계와 테이
JPA를 사용하는데 가장 중요항 일은 엔티티와 테이블을 정확히 매핑하는 것이다. 따라서 매핑 애노테이션을 숙지하고 사용해야 한다. JPA는 다양한 매핑 애노테이션을 지원하는데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객체와 테이블 매핑: @Entity, @Table 기본 키 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