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 문서에서 위치를 지정하고 수정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속성인 display, position, float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해당 요소를 block 요소로 만든다. (줄바꿈 됨)
해당 요소를 inline 요소로 만든다. (줄바꿈 안됨)
해당 요소를 inline-block 요소로 만든다. (줄바꿈 안됨)
해당 요소를 보이지 않게 한다.
* { display : none }은 해당 요소 자체를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공간을 차지하지 않지만, { visibility : hidden }은
해당 요소를 보이지 않게 숨겨두는 것 뿐이므로 해당 요소의 크기만큼
공간을 차지한다.
해당 요소를 flexbox 요소로 만든다.
해당 요소를 grid 요소로 만든다.
기본값. 부모 요소를 기준으로 하는 위치로,
자식 요소의 크기에 따라 부모 요소의 크기가 자동으로 변경된다.
(top, left, right, bottom 속성 지정 불가능)
자기 자신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상대적인 위치.
top, left, right, bottom등의 속성값을 지정할 수 있다.
자식 요소의 크기에 따라 부모 요소의 크기가 자동으로 변경되지만,
요소의 위치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부모 요소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상대 위치를 지정한다.
부모 요소는 반드시 position이 relative 속성이어야 하며,
해당 요소의 크기가 부모 요소의 크기에 반영되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브라우저 창을 기준으로 위치를 지정한다.
전체 문서를 기준으로 위치가 정해지므로 부모 요소의 위치와는 무관하며,
해당 요소의 크기가 부모 요소의 크기에 반영되지 않는다.
또한 스크롤의 영향을 받지 않고 위치가 고정된다.
주로 특정 UI 요소를 부라우저 화면에 고정항 때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