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1.12 TIL (문자열)

최영노·2021년 1월 13일
0

문자열

var str = 'codestates'

이 codestates 에 문자 하나하나에 접근하는 방식이 바로 '문자열' 이다.

문자열 하나 하나에 접근하는 방식은

str[0] = 'c'
str[1] = 'o'

이런식으로 접근할 수 있다.

참고로 index로 문자열 하나 하나에 접근은 가능하지만 수정하거나 쓸 수는 없다!

(참고 : 문자열은 0번째 인덱스부터 시작한다. 꼭 유의하기!)

+ 연산자

문자열은 + 연산자를 통해 문자열을 하나로 합칠 수 있다.

ex) '1' + '5' === '15'

ex) '3' + 'asdf' === '3asdf'

여기서 숫자끼리 더한다고 해서 6이 되는것이 아니다. 이것은 문자열 ('') 끼리 합쳤기 때문에 계산식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문자열 index 를 찾는 메소드

문자열.indexOf() 이 메소드를 활용하여 찾고자 하는 문자열이 어디부터 시작되는지 알 수 있다.

ex) 'CodeStates'.indexOf(Code) // 0
ex) 'CodeStates'.indexOf(States) // 4
ex) 'CodeStates'.indexOf(code) // -1

마지막 code는 왜 -1이 뜨는것일까..? 인덱스가 아예 없을 경우엔 -1 이 출력된다!

대문자, 소문자로 변환하는 메소드

문자열.toLowerCase() / 문자열.toUpperCase()

이 메소드를 활용하면 소문자 / 대문자 로 변환할 수 있다.

ex) 'HELLO'.toLowerCase() // 'hello'
ex) hello.toUpperCase() // 'HELLO'

이런식으로 가능하다!

(여기서 알아두어야 할 점..)

위 메소드를 활용하여 변환한 값을 출력해도 원래 문자열 값 ('HELLO' / 'hello') 은 바뀌지 않는다.

모든 string 메소드는 immutable (바뀌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profile
개발자를 꿈꾸는 한 사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