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를 선언할 때, 변수 값의 타입을 명시함으로써 변수 값의 데이터 타입을 지정
let x : string = 'hello';
변수이름 뒤에 콜론, 변수의 데이터 타입을 지정해주면 된다.
타입이 명시된 변수는 항상 그 타입의 값을 가져야한다.
function formatDate(d:Date): string {
let year = d.getFullYear();
let month = d.getMonth() + 1;
let day = d.getDate();
return `${year}년 ${month}월 ${day}일`
};
const today = formatDate(new Date());
console.log(today);
let formatDate = (d: Date | number, lang = "ko", delimiter?: string): string => {
// 로직 생략
};
formatDate(new Date());
formatDate(20201028, "en");
formatDate(20201028, "en", "-");
void나 any타입이 아닌경우에 타입이 명시된 함수는 반드시 value가 반환되어야 한다.
만약 object 타입의 값이 반환되는 경우에 {}중괄호를 사용하여 반환되는 객체의 구조를 타입으로 지정이 가능하다.
function getStudentInfo(studentID: number){
studentID: number;
stundentName: string;
age: number;
gender: stirng;
}{
//로직
}
다만 조금 로직이 지져분해 질 수 있어서 이럴경우 interface를 사용해주는것이 좀더 깔끔하다.
interface에 대한 내용은 다음 포스팅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