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DK>JRD>JVM
Java Development Kit
JDK = JRE + 개발을 위한 도구(컴파일러,디버그 도구 등)
참고로 컴파일이란 인간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를 컴파일러를 통해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0,1)로 변역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바이트 코드란 0과 1로 이루어진 코드로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다.
Java Runtime Environment
실행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파일을 가지고 있고, JVM의 실행환경을 구현한다.
Java Virtual Machine
0과 1의 조합은 운영체제마다 달라서 Windows, MacOS, Linux 마다 다른 컴파일러가 필요하다.
하지만 Java의 경우 JVM이 운영체제에 맞춰서 번역해준다.
따라서, JDK를 설치하면 JRE,JVM도 함께 설치되며 JAVA의 버전 = JDK의 버전
ORACLE, AZUL, OpenJDK.org, Red Hat/CentOS, AdoptOpenJDK.net 등등 여러가지 있지만, 이번에는 ORACLE, OpenJDK.org 를 이용할 예정
타이핑한 프로그램 코드를 여러 과정을 거쳐 독립적인 하나의 파일로 만드는 과정.
테스트 코드란? 작성한 코드를 자동 테스트해주는 코드를 추가로 작성하는 것이고, 이게 있고 없고에 따라서 개발 속도 및 안정성, 품질이 달라질 수 있다.
내가 작성한 코드를 컴파일을 거쳐서 작동시켜 보는 것
주의! 인터프리터 언어(자바,파이썬)는 컴파일이 필요없다!
소스코드의 빌드 과정을 자동으로 처리해주는 프로그램
외부 라이브러리를 자동 추가하고 관리한다.
Java에는 세가지 빌드 툴이 있다.
설정을 위해 xml을 사용.
간단하고 사용하기 쉽다.
복잡한 처리를 하려하면 빌드 스크립트가 장황해져서 관리가 어려움
외부 라이브러리를 관리하는 구조가 없다.
2000년대 초/중반에 사용하고 요즘은 잘 안씀
설정을 위해 xml을 사용.
외부 라이브러리 관리 가능.
장황한 빌드 스크립트 문제를 해결함.
특정 경우에 xml이 복잡해짐.
xml 자체의 한계 존재.
Ant의 단점을 대부분 극복했으나 신규 프로젝트에는 지양하는 추세
가장 최신 java 빌드 툴이고 신규 프로젝트에서 많이 사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