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파일 시스템 구조

Geeho.a·2020년 10월 27일
0

리눅스 파일시스템

Linux는 UNIX계열의 운영체제이다.
Linux도 UNIX와 마찬가지로 시스템과 관련된 정보들을 파일로 관리한다. 리눅스는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위해 디렉토리를 사용하는데 디렉토리는 계층구조를 가지고 있다. 전체 파일 용도에 따라 계층 디렉토리로 구분하여 관리하며 이것을 파일 시스템 이라고 한다.

리눅스 파일의 종류

  • 일반파일 :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주로 사용. 각종 테스트파일, 실행파일, 이미지 파일 등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파일은 일반파일이다. 실행파일이나 이미지 파일의 경우 데이터가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되어 바이너리 파일이라고도 한다.(가장흔한 파일..)

  • 디렉토리 :
    리눅스에서는 디렉토리도 파일로 취급한다. 디렉토리 파일에는 해당 디렉토리에 저장된 파일이나 하위 디렉토리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즉 디렉토리 파일은 다른 파일들의 목록을 가지고 있거나 그 파일들의 정보(주소)를 가리키는 포인터들을 가지는 파일이다. (디렉토리 파일 읽는 권한이 있으면 그 디렉토리 안 파일 내용 또한 읽을 수 있다. 단, 디렉토리 파일에 직접적으로 쓰는 것은 커널만 할 수 있댜.

  • 특수파일 :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