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e

이진혁·2022년 3월 23일
0

리액트

목록 보기
2/3
post-thumbnail

useState

state는 리액트에서 화면을 그려내는 데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State라는 단어는 한국어로 '상태'라는 뜻이 있는데요. 리액트에서의 state도 그 의미가 다르지 않습니다.

상태가 바뀔 때마다 화면을 새롭게 그려내는 방식으로 동작을 하는 것이죠.

리액트에서 state를 만들고, state를 바꾸기 위해서는 일단 useState라는 함수를 활용해야 합니다.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num, setNum] = useState(1);

보통 이렇게 Destructuring 문법으로 작성하는데요. useState 함수가 초깃값을 아규먼트로 받고 그에 따른 실행 결과로 요소 2개를 가진 배열의 형태로 리턴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때 첫 번째 요소가 바로 state이고, 두 번째 요소가 이 state를 바꾸는 setter 함수인데요.

참고로 위 코드에서도 볼 수 있듯 첫 번째 변수는 원하는 state의 이름(num)을 지어주고, 두 번째 변수에는 state 이름 앞에 set을 붙인 다음 카멜 케이스로 이름을 지어주는 것(setNum)이 일반적입니다.

state는 변수에 새로운 값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이 setter 함수를 활용해야 하는데요. setter 함수는 호출할 때 전달하는 아규먼트 값으로 state 값을 변경해 줍니다.

그래서 아래 코드처럼 setter 함수를 활용해서 이벤트 핸들러를 등록해두면,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상태가 변하면서 화면이 새로 그려지는 것입니다.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Button from './Button';
import Dice from './Dice';

function App() {
  const [num, setNum] = useState(1);

  const handleRollClick = () => {
    setNum(3); // num state를 3으로 변경!
  };

  const handleClearClick = () => {
    setNum(1); // num state를 1로 변경!
  };

  return (
    <div>
      <Button onClick={handleRollClick}>던지기</Button>
      <Button onClick={handleClearClick}>처음부터</Button>
      <Dice color="red" num={num} />
    </div>
  );
}
export default App;

초깃값 지정하기

const [state, setState] = useState(initialState);

useState 함수에 값을 전달하면 초깃값으로 지정할 수 있었습니다.

콜백으로 초깃값 지정하기

const [state, setState] = useState(() => {
  // 초기값을 계산
  return initialState;
});

초깃값을 계산해서 넣는 경우 이렇게 콜백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무슨 말인지 예시 코드로 한번 살펴볼게요.

function ReviewForm() {
  const savedValues = getSavedValues(); // ReviewForm을 렌더링할 때마다 실행됨
  const [values, setValues] = useState(savedValues);
  // ...
}

getSavedValues 라는 함수를 통해서 컴퓨터에 저장된 초깃값을 가져온다고 해봅시다.

이 코드엔 한 가지 문제점이 있는데요. savedValues 라는 값은 처음 렌더링 한 번만 계산하면 되는데,

매 렌더링 때마다 불필요하게 getSavedValues 함수를 실행해서 저장된 값을 가져온다는 거죠.

function ReviewForm() {
  const [values, setValues] = useState(() => {
    const savedValues = getSavedValues(); // 처음 렌더링할 때만 실행됨
    return savedValues
  });
  // ...
}

이럴 때는 이렇게 콜백 형태로 초깃값을 지정해주면

처음 렌더링 할 때 한 번만 콜백을 실행해서 초깃값을 만들고,

그 이후로는 콜백을 실행하지 않기 때문에 getSavedValues 를 불필요하게 실행하지 않습니다.

단, 이때 주의할 점은 이 콜백 함수가 리턴할 때까지 리액트가 렌더링하지 않고 기다린다는 점인데요.

콜백 함수의 실행이 오래 걸릴 수록 초기 렌더링이 늦어진다는 점을 주의해야합니다.

참조형 State

자바스크립트의 자료형은 크게 기본형(Primitive type)과 참조형(Reference type)로 나눌 수 있습니다.
특히 참조형 값들은 조금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변수로 다룰 때도 조금 주의해야 할 부분들이 있었는데, state를 활용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const [gameHistory, setGameHistory] = useState([]);

  const handleRollClick = () => {
    const nextNum = random(6);
    gameHistory.push(nextNum);
    setGameHistory(gameHistory); // state가 제대로 변경되지 않는다!
  };

위 코드에서 볼 수 있듯 배열 값을 가진 gameHistory에 push 메소드를 이용해서 배열의 값을 변경한 다음, 변경된 배열을 setter 함수로 state를 변경하려고 하면 코드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gameHistory state는 배열 값 자체를 가지고 있는 게 아니라 그 배열의 주솟값을 참조하고 있는 건데요. 때문에 push 메소드로 배열 안에 요소를 변경했다고 하더라도 결과적으로 참조하는 배열의 주솟값은 변경된 것이 아니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리액트 입장에서는 gameHistory state가 참조하는 주솟값은 여전히 똑같기 때문에 상태(state)가 바뀌었다고 판단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참조형 state를 활용할 때는 반드시 새로운 참조형 값을 만들어 state를 변경해야 합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Spread 문법(...) 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const [gameHistory, setGameHistory] = useState([]);

  const handleRollClick = () => {
    const nextNum = random(6);
    setGameHistory([...gameHistory, nextNum]); // state가 제대로 변경된다!
  };

이 참조형 state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면, 간혹 state가 제대로 변경되지 않는 버그가 발생했을 때 원인을 제대로 찾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참조형 state를 활용할 땐 반드시 새로운 참조형 값을 만들어서 state를 변경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두자!

profile
개발 === 99%의 노력과 1%의 기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