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프로그래밍] 3주차 파일 시스템

행복한 콩🌳·2022년 5월 15일
0

시스템 프로그래밍

목록 보기
7/17

1차시 리눅스 파일 특징

data block
데이터가 저장되는 실제 하드 디스크 공간
i-node
파일 종류, 접근 권한, 하드 링크 개수, 소유자의 UID, GID, 파일의 크기, 파일 접근 시각/수정시각, 파일의 i-node 변경 시각, sys/stat.h 파일에 정의되어 있는 stat 구조체 저장

  1. 리눅스 파일 구성 = file name + i-node + data block
  2. 윈도우 파일의 특성. (윈도우 cmd 창에서 attrib | more 로 확인)
  • a (보관) - 보관하는 것임을 알린다.
  • r (읽기 전용) - 읽기만 허용하고 수정은 허용하지 않는다. 폴더에 대한 읽기 전용은 일반적으로 무시된다
  • s (시스템) - 시스템 파일임을 알린다.
  • h (숨김) - 파일을 보이지 않는다.

2차시 파일 접근

사용 권한

  • 파일의 소유자와, 소유그룹, 일반 사용자의 사용 권한을 의미한다.
    심볼릭 링크
  • 기존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다른 파일을 만듦, 기존 파일과 다른 i-node 사용
    하드 링크
  •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파일명을 새로 생성, 기존 파일과 동일한 i-node 사용, i-node에 저장된 링크 개수 증가
  1. 리눅스 파일 종류
  • d : 디렉터리
  • Ι : 심블릭 링크 파일
    • : 일반 파일
  • b : 특수파일(블록 장치)
  • c : 특수 파일(문자 장치)
  1. 파일 권한
  • r : 읽기 가능, 파일을 읽거나 복사 가능, 100(2진수표기), 4(8진수표기)
  • w : 쓰기 가능, 파일을 수정, 이동, 삭제가 가능, 10(2진수표기), 2(8진수표기)
  • x : 실행 가능, 파일을 실행 할 수 있음, 1(2진수표기), 1(8진수표기)
  1. 하드 링크
  •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파일명을 새로 생성
  • 기존 파일과 동일한 i-node 사용
  • i-node에 저장된 링크 개수 증가
  1. 심볼릭 링크
  • 기존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다른 파일을 만듬
  • 기존 파일과 다른 i-node 사용

3차시 디렉터리 다루기

디렉터리

  • 파일의 목록을 저장하기 위한 특수한 형태의 파일, root부터 시작하는 계층 구조
    절대경로
  • 루트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파일의 위치 표현
    상대경로
  • 현재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파일 위치 표현
  1. 디렉터리
    파일의 목록을 저장하기 위한 특수한 형태의 파일, root부터 시작하는 계층 구조
  2. 절대 경로
    루트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파일의 위치 표현
  3. 상대 경로
  • 현재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파일 위치 표현
  • 현재 디렉터리 : .
  • 부모 디렉터리 : ..
  • 디렉터리 구분 : / (윈도우 운영체제는 \ 혹은 \)
  1. 디렉터리 관련 함수
  • 생성 : mkdir()
  • 삭제 : rmdir()
  • 이름변경 : rename()
  • 현재 작업 위치 : getcwd()
  • 이동 : chdir()
  • 정보 검색 : opendir()
  • 닫기 : closedir()
  • 정보 읽기 : readdir()
  • 오프셋 : telldir(), seekdir(), rewinddir()
profile
매일매일 조금씩 모여 숲이 되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