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variable)란 ,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 또는 그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이다.
변수 이름은 어떤 값을 구별해서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이름인 식별자 라고 부르기도 한다.
let a = 2;
let b = 5;
console.log(a+b); // 7
✔️ 변수를 생성하는 것. 재사용 가능.
📌 Hoisting 현상
: 모든 선언문이 소스코드가 한줄씩 실행되는 시점, 즉 런타임 이전에 실행되는 현상.
console.log(score); // undefined
var score;
✔️ 변수 호이스팅 현상으로 인해, null이 출력되지 않고 undefined 으로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다.
var score = 90; // 변수 선언과 값의 할당
console.log(score); // 90
✔️ 할당 연산자 = 를 사용한다.
📌 상수(constant)
값을 재할당할 수 없어서 변수에 저장된 값을 변경할 수 없는 것으로, 단 한번만 할당이 가능하다.
💡 데이터 재할당 가능한 경우
let a = 12;
console.log(a); // 12
a = 990;
console.log(a) // 990
💡 데이터 재할당 불가능한 경우
const a = 12;
console.log(a) // 12
a = 990;
console.log(a) //TypeError :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
✔️ const 키워드는 데이터 재할당이 불가하므로, 단 한번만 할당할 수 있는 상수를 선언할 때 사용된다.
let this = 'Hello' // SyntaxError
let if = 123; // SyntaxError
let break = true; // SyntaxError
✔️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지는 단어들은 변수 이름으로 사용이 불가.
// 카멜 케이스 (camelCase)
var firstName;
// 파스칼 케이스 (PascalCase)
var FirstName;
✔️ 가독성 좋게 단어를 한눈에 구분하기 위해 규정한 명명 규칙.
✔️ 변수나 함수의 이름은 카멜 케이스(camelCase) 사용.
생성자 함수 및 클래스의 이름은 파스칼 케이스(PascalCase)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