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 DeepDive - 타입 변환과 단축평가

이상철·2023년 5월 1일
0

JS - DeepDive

목록 보기
6/8
post-thumbnail

타입 변환과 단축평가

타입 변환이란 ?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값은 타입이 있습니다.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값의 타입을 변환시키는 것을 명시적 타입 변환 또는 타입 캐스팅 이라고 합니다.

let x = 10;
let str = x.toString();

console.log(`type : ${typeof(str)} , value : ${str}`)
=> 'type : string , value : 10'

console.log(`type : ${typeof(x)} , value : ${x}`)
=> 'type : number , value : 10'

개발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표현식을 평가하는 도중에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타입이 자동 변환 되기도 한다. 이를 암묵적 타입 변환 또는 타입 강제 변환이라 한다.

let x = 10;

let str = x + "";

console.log(`type : ${typeof(str)}, value : ${str}`);
=> 'type : string, value : 10'

console.log(`type : ${typeof(x)}, value : ${x}`);
=> 'type : number, value : 10'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므로 값을 변경할 수 없다. 타입 변환이란 기존 원시 값을 사용해 다른 타입의 새로운 원시 값을 생성하는 것이다.

즉, 암묵적 타입 변환은 기존 변수 값을 재할당하여 변경하는 것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코드를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동료가 작성한 코드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어야 하고 자신이 작성한 코드도 동료가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타입 변환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하자.

암묵적 타입 변환.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표현식을 평가할 때 개발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코드의 문맥을 고려해 암묵적으로 데이터 타입을 강제 변환(암묵적 타입 변환) 할 때가 있다.

// 1. 피연산자가 모두 문자열 타입이어야 하는 문맥
let x = "10" + 2;
console.log(`type = ${typeof(x)}, value = ${x}`)
=> 'type = string, value = 102'

// 2. 피연산자가 모두 숫자 타입이어야 하는 문맥
let y = 5 * "10";
console.log(`type = ${typeof(y)}, value = ${y}`)
=> 'type = number, value = 50'

// 3. 피연산자 또는 표현식이 불리언 타입이어야 하는 문맥
!0 = true

if(1) {
	console.log("It's Work!")
}

"It's Work!"
  • 이 처럼 표현식을 평가할 때 코드의 문맥에 부합하지 않는 이상 다양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래밍 언어에 따라 에러를 발생시키기도 하지만 자바스크립트는 가급적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암묵적 타입 변환을 통해 표현식을 평가한다.

문자열 타입으로 변환

1 + "2" // "12"
  • 위 예제의 + 연산자는 피연산자 중 하나 이상이 문자열 이므로 문자열 연결 연산자로 동작한다.
  • 문자열 연결 연산자의 역할은 문자열 값을 만드는 것이다.
  • 따라서, 문자열 연결 연산자의 모든 피연산자는 코드의 문맥상 모두 문자열 타입이여야 한다.
  •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문자열 연결 연산자 표현식을 평가하기 위해 문자열 연결 연산자의 피연산자 중에서 문자열 타입이 아닌 피연산자를 문자열 타입으로 암묵적 타입 변환한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문자열 타입이 아닌 값을 문자열 타입으로 암묵적 타입 변환을 수행할 때 다음과 같이 동작함.

// 숫자 타입
0 + "" // "0"
-0 + "" // "0"
1 + "" // "1"
-1 + "" // "-1"
NaN + "" // "NaN"
Infinity + "" // "Infinity"
-Infinity + "" // "-Infinity"

// 불리언 타입
true + "" // "true"
false + "" // "false"

// null 타입
null + "" // "null"

// undefined 타입
undefined + "" // "undefined"

// 심볼 타입
(Symbol()) + "" // Type Error

// 객체 타입
({}) + "" // "[Object Object]"
Math + "" // "[Object Math]"
[] + "" // ""
[10,20] + "" // "10,20"
(function(){}) + "" // "function(){}"
Array + "" // "function Array(){[native code]}"

숫자 타입으로 변환

1 - "1" // 0
1 * "10" // 10
1 / "one" // NaN
  • 사용한 연산자는 모두 산술 연산자.
  • 산술 연산자의 역할은 숫자 값을 만드는 것
  • 산술 연산자의 모든 피연산자는 코드 문맥상 모두 숫자 타입이여야 함
  •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산술 연산자 표현식을 평가하기 위해 산술 연산자의 피연산자 중에서 숫자타입이 아닌경우 피연산자를 숫자 타입으로 암묵적 타입 변환한다.
  • 피연산자를 숫자 타입으로 변환할 수 없는 경우는 산술 연산을 수행 할 수 없으므로 표현식의 평가 결과는 NaN이 된다.
"1" > 0 // true
  • 비교 연산자의 역할은 불리언 값을 만드는 것이다.
  • 비교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크기를 비교하므로 모든 피연산자는 코드의 문맥상 모두 숫자타입이여 함

  •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비교 연산자 표현식을 평가하기 위해 비교 연산자의 피연산자 중에서 숫자 타입이 아닌 피연산자를 숫자 타입으로 암묵적 타입 변환한다.
  • 즉, + 단항 연산자는 피연산자가 숫자 타입의 값이 아니면 숫자 타입의 값으로 암묵적 타입변환을 한다.
// 문자열 타입
+"" // 0
+"0" // 0
+"1" // 1
+"string" // NaN

// 불리언 타입
+true // 1
+false // 0

// null 타입
+null // 0

// undefined 타입
+undefined // NaN

// 심벌 타입
+Symbol() // Type Error

// 객체 타입
+{} // NaN
+[] // 0
+[10,20] // NaN
+(function()[]) // NaN
  • 빈 문자열(””), 빈 배열([]), null, false 는 0으로, true는 1로 변환된다.
  • 객체와 빈 배열이 아닌 배열, undefined는 변환되지 않아 NaN이 된다는 것에 주의하자.

불리언 타입으로 변환

if("") console.log("result") // 아무런 동작이 없다.

if문이나 for문과 같은 제어문 또는 삼항 조건 연산자의 조건식은 불리언 값, 즉 논리적 참/거짓으로 평가되어야 하는 표현식이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조건식의 평가 결과를 불리언 타입으로 암묵적 타입 변환한다.

if("") console.log("1") // x
if(true) console.log("2") // 2
if(0) console.log("3") // x
if("str") console.log("4") // 4
if(null) console.log("5") // x
  •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불리언 타입이 아닌 값을 Truthy값 (참으로 평가되는 값) 또는 Falsy 값(거짓으로 평가 받는 값)으로 구분한다.
  • 제어문의 조건식과 같이 불리언 값으로 평가되어야 할 문맥에서 Truthy 값은 true로 Falsy 값은 false로 암묵적 타입변환된다.

false로 평가받는 Falsy 값

* false 
* undefined
* null
* 0,-0
* NaN
* "" (빈 문자열, 공백)

Falsy값 외의 모든 값은 모두 true로 평가 받는 Truthy 값이다.

명시적 타입 변환

개발자의 의도에 따라 명시적으로 타입을 변경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문자열 타입으로 변환

문자열 타입이 아닌 값을 문자열 타입으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String 생성자 함수를 new 연산자 없이 호출하는 방법
  2. Object.prototype.toString 메소드를 사용하는 방법
  3. 문자열 연결 연산자를 사용하는 방법
**1. String 생성자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
// 숫자 타입 => 문자열 타입
String(1) // "1"
String(NaN) // "NaN"
String(Infinity) // "Infinity"

// 불리언 타입 => 문자열 타입
String(true) // "true"
String(false) // "false"

**2. Object.prototype.toString 메소드를 사용하는 방법**
// 숫자 타입 => 문자열 타입
(1).toString() // "1"
(NaN).toString() // "NaN"
(Infinity).toString() // "Infinity"

// 불리언 타입 => 문자열 타입
(true).toString() // "true"
(false).toString() // "false"

**3. 문자열 연결 연산자를 사용하는 방법**
// 숫자 타입 => 문자열 타입
1 + "" // "1"
NaN + "" // "NaN"
Infinity + "" // "Infinity"

// 불리언 타입 => 문자열 타입
true + ""; // "true"
false + ""; // "false"

숫자 타입으로 변환

숫자 타입이 아닌 값을 숫자 타입으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Number 생성자 함수를 new 연산자 없이 호출하는 방법
  2. parseInt, parseFloat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 (문자열만 숫자 타입으로 변경 가능)
    • 단항 산술 연산자를 이용하는 방법
    • 산술 연산자를 사용하는 방법
**1. Number 생성자 함수를 new 연산자 없이 호출하는 방법**
// 문자열 타입 => 숫자 타입
Number("0") // 0
Number("-1") // -1
Number("10.53") // 10.53
// 불리언 타입 => 숫자 타입
Number(true) // 1
Number(false) // 0

**2.parseInt, parseFloat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 (문자열만 숫자 타입으로 변경 가능)**
// 문자열 타입 => 숫자 타입
parseInt("0") // 0
parseInt("-1") // -1
parseFloat("10.53") // 10.53

** parseInt 메서드는 정수를 반환하는 메서드
** parseFloat 메소드는 실수를 반환하는 메서드

parseInt(2012.10) // 2012
parseInt(1231241512.10) // 1231241512
parseInt(1414152.10) // 1414152
parseInt(12.1012312312) // 12

parseFloat(11231231.1112) // 11231231.1112
parseFloat(11123123.112212) // 11123123.112212
parseFloat(11231231.122112) // 11231231.122112
parseFloat(121.133100112) // 121.133100112

**3. + 단항 산술 연산자를 이용하는 방법**
// 문자열 타입 => 숫자 타입
+"0" // 0
+"-1" // -1
+"10.53" // 0.53

// 불리언 타입 => 숫자 타입
+true // 1
+false // 0

**4. * 산술 연산자를 이용하는 방법**
// 문자열 타입 => 숫자 타입
"0" * 1 // 0
'-1' * 1 // -1
"10.53" * 1 // 10.53

// 불리언 타입 => 숫자 타입
true * 1 // 1
false * 1 // 0

불리언 타입으로 변환

불리언 타입이 아닌 값을 불리언 타입으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Boolean 생성자 함수를 new 연산자 없이 호출하는 방법
  2. ! 부정 논리 연산자를 두 번 사용하는 방법
**1. Boolean 생성자 함수를 new 연산자 없이 호출하는 방법**
// 문자열 타입 => 불리언 타입
Boolean("x") // true
Boolean("") // false
Boolean("false") // true

// 숫자 타입 => 불리언 타입
Boolean(0) // false
Boolean(1) // true
Boolean(NaN) // false
Boolean(Infinity) // true
Boolean(-Infinity) // true

// null 타입 => 불리언 타입
Boolean(null) // false

//undefined 타입 => 불리언 타입
Boolean(undefined) // false

// 객체 타입 => 불리언 타입
Boolean({}) // true
Boolean([]) // true

**2. ! 부정 논리 연산자를 두 번 사용하는 방법**
// 문자열 타입 => 불리언 타입
!!"x"; // true
!!""; // false
!!"false" // true

// 숫자 타입 => 불리언 타입
!!0; //false
!!1; // true
!!NaN; // false
!!Infinity; // true

// null 타입 => 불리언 타입
!!null; // false

// undefined 타입 => 불리언 타입
!!undefined // false

// 객체 타입 => 불리언 타입
!!{}; // true
!![]; // true

단축 평가

논리 연산자를 사용한 단축 평가

  • 논리합(||) 또는 논리곱(&&) 연산자의 표현식의 평가 결과는 불리언 값이 아닐 수도 있다.
  • 논리합(||)과 논리곱(&&) 연산자 표현식은 언제나 2개의 피연산자 중 어느 한쪽으로 평가된다.
"Cat" && "Dog" // "Dog"
  • 논리곱(&&) 연산자는 두 개의 피연산자가 모두 true로 평가 될 때 true를 반환한다.
  • 논리곱 연산자는 좌항에서 우항으로 평가가 진행된다.
  • 첫 번째 피연산자 "Cat"은 Truthy 값이므로 true로 평가된다.
  • 하지만 이 시점까지는 위 표현식을 평가할 수 없다.
  • 두 번째 피연산자까지 평가해 보아야 위 표현식을 평가할 수 있다.
  • 다시말해 두 번째 피연산자가 위 논리곱 연산자 표현식의 평가 결과를 결정한다.
  • 이때 논리곱 연산자는 논리 연산의 결과를 결정하는 두 번째 피연산자, 즉 문자열 "Dog"를 그대로 반환

논리합(||) 연산자도 논리곱(&&) 연산자와 동일하게 동작합니다.

"Cat" || "Dog" // "Cat"
  • 논리합(||) 연산자는 두 개의 피연산자 중 하나만 true로 평가되어도 true를 반환한다.
  • 논리합 연산자도 좌항에서 우항으로 평가가 진행된다.
  • 첫 번째 “Cat”은 Truthy 값이므로 true로 평가된다. 이 시점에 두 번째 피연산자까지 평가해 보지 않아도 위 표현식을 평가할 수 있다.
  • 이때 논리합 연산자는 논리 연산의 결과를 결정한 첫 번째 피연산자, 즉 문자열 “Cat”을 그대로 반환한다.
  • 논리곱(&&) 연산자와 논리합(||) 연산자는 이처럼 논리 연산의 결과를 결정하는 피연산자를 타입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반환한다. 이를 단축평가라 한다.
  • 단축 평가는 표현식을 평가하는 도중에 평과 결과가 확정된 경우 나머지 평가 과정을 생략하는 것을 말한다.
// 논리합(||) 연산자
"Cat" || "Dog" // "Cat" 
false || "Dog" // "Dog"
"Cat" || false // "Cat"

// 논리곱(&&) 연산자
"Cat" && "Dog" // "Dog"
false && "Dog" // false
"Cat" && false // false

객체를 가리키기를 기대하는 변수가 null 또는 undefined가 아닌지 확인하고 프로퍼티를 참조할 때

  • 객체는 key와 value로 구성된 프로퍼티의 집합이다.
  • 만약 객체를 가리키기를 기대하는 변수의 값이 객체가 아니라 null 또는 undefined인 경우에 객체의 프로퍼티를 참조하면 타입 에러가 발생한다.
const element = null;
const value = element.value 
//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ies of null (reading 'value')

이때 단축평가를 사용하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const element = null;
const value = element && element.value
console.log(value) // null

함수 매개변수에 기본값을 설정할 때

함수를 호출할 때 인수를 전달하지 않으면 매개변수에는 undefined가 할당된다. 이때 단축 평가를 사용해 매개변수의 기본 값을 설정하면 undefined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const getStrLength = (str) => {
	str = str || "";
	return str.length
}

getStrLength() // 0
getStrLength("h1") // 2

// ES6 매개변수 기본 값 설정

const getStrLength_ES6 = (str= "") => {
	return str.length
}

getStrLength_ES6() // 0
getStrLength_ES6("h1") // 2

옵셔널 체이닝 연산자

ES11에서 도입된 옵셔널 체이닝 연산자 “?.”는 좌항의 피연산자가 null 또는 undefined인 경우 undefined를 리턴하고 그렇지 않으면 우항의 프로퍼티 참조를 이어간다.

const element = null;

const value = element?.value;
console.log(value) // undefined
  • 옵셔널 체이닝 연산자 ?. 는 객체를 가리키기를 기대하는 변수가 null 또는 undefined가 아닌지를 확인하고 프로퍼티를 참조할 때 유용하다.
  • 옵셔널 체이닝 연산자 도입되기 이전에는 논리 연산자 &&를 사용한 단축평가를 통해 변수가 null 또는 undefined인지 확인했다.
const element = null;

const value = element && element.value
console.log(value) // null

논리 연산자 &&는 좌항 피연산자가 false로 평가되는 Falsy 값(false, undefined, null ,””, 0,-0,NaN)이면 좌항 피연산자를 그대로 반환한다.

const str = "";

const length = str && str.length

console.log(length) // ""

옵셔널 체이닝 연산자 ?. 는 좌항 피연산자가 false로 평가되는 Falsy값 [””, 0, -0, NaN, false,null,undefined] 이라도 null 또는 undefined가 아니면 우항의 프로퍼티 참조를 이어간다.

const str = "";

const length = str?.length

console.log(length) // 0

null 병합 연산자

ES11에서 도입된 null 병합 연산자 ??는 좌항의 피연산자가 null 또는 undefined인 경우 우항의 피연산자를 반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좌항의 피연산자를 반환한다. null 병합 연산자 ??는 변수의 기본 값을 설정할 때 유용하다.

const foo = null ?? "기본 값"
console.log(foo) // "기본 값"

const bar = false ?? "기본 값"
console.log(bar) // false
  • null 병합 연산자 ?? 는 변수의 기본 값을 설정할 때 유용하다.
  • null 병합 연산자 ??가 도입되기 전에는 논리 연산자 ||를 사용한 단축 평가를 통해 변수에 기본 값을 설정
  • 논리 연산자 || 를 사용한 단축 평가의 경우 좌항의 피연산자가 false로 평가되는 Falsy 값 (””, 0,-0,NaN,false,null, undefined)이면 우항의 피연산자를 리턴합니다.
  • 만약 “” 이나 0도 기본값으로서 유효하다면 예기치 않은 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
헤더부터 푸터까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