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적 의미로는
컴퓨터 과학에서 조건문이란 프로그래머가 명시한 불린 자료형 조건이 참인지 거짓인지에 따라 달라지는 계산이나 상황을 수행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징이다.
라고 한다.
한가지 함수를 가정해보자
function abs (a,b,option){
}
위에 있는 함수에서 인자인 a,b에 숫자가 들어간다고 하고 option이라는 인자가
" + ", " - ", " * " , " / " 라고 할때
덧셈,뺄셈,곱셉, 나눗셈이 되는 함수를 작성하라라고 하면
각 기호에 맞는 조건을 작성하면 된다.
출력값은 a 와 b가 option을 통하여 작동되는 조건을 만드는 것으로 return
function abs (a,b,option){
if(option === "+"){
// + 조건을 만들어주는데, 만약 option 인자에 입력되는 게 "+" 라면?
return a + b;
// a와 b가 더해질수 있는 출력값을 작성
}
}
function abs (a,b,option){
if(option === "+"){
return a + b;
} else if (option === "-"){
// 또 만약 option 인자에 입력되는 게 "-"라면?
return a - b;
// a와 b가 빼기를 할 수 있는 출력값을 작성
}
}
-3번째 조건
function abs (a,b,option){
if(option === "+"){
return a + b;
} else if (option === "-"){
return a - b;
} else if (option === "*"){
// 또 만약 option 인자가 입력되는게 "*"(<-- 참고로 곱하기) 라면?
return a * b;
// a와 b가 곱하기 되는 출력값을 작성
}
}
function abs (a,b,option){
if(option === "+"){
return a + b;
} else if (option === "-"){
return a - b;
} else if (option === "*"){
return a * b;
} else { // 마지막 조건인 나눗셈이 되는 조건만 남았기에
return a / b;
// 별도의 조건문을 쓰지 않고도 a와 b 가 나눗셈 적용되는 출력값을 작성
}
}
이렇게 계산기의 기능을 하는 함수 외에도 참인지 거짓인지를 판별하는 Boolean type에서도 적용할수 있다.
boolean
함수는 식을 평가하고 참이나 거짓을 반환합니다.
라고 MDN에 정의가 되어 있다.
앞서서 말한 그대로 참,거짓을 판별한다.
"말 그대롭니다"
문제 .
a,b 인자에 숫자 혹은 문자열이 입력될때 입력값이 같으면 참 다르면 거짓을 출력하는 함수를 만들어라
function trueOrFalse (a, b){
}
이렇게 있을때 우리는 두가지 조건으로 정리할수 있다.
1.a, b 입력 값이 같으면 true 리턴
2.a, b 입력 값이 다르면 false 리턴
function trueOrFalse (a, b){
if(a === b){
return true;
} else {
return false;
}
}
이렇게 작성할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