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wagger는 애플리케이션의 REST API 문서를 자동으로 구성해주는 도구이다. Spring Boot에서 이를 적용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자.

로깅이란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동안 시스템의 상태나 동작 정보를 시간순으로 기록하는 것

정적 타입을 이용해 SQL과 같은 쿼리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레임워크로, 문자열이나 XML 파일을 통해 쿼리를 작성하는 대신 QueryDSL이 제공하는 플루언트(Fluent) API를 활용해 쿼리를 생성할 수 있음

엔티티 클래스에는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필드가 있음.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필드는 생성 주체, 생성 일자, 변경 주체, 변경 일자.

A problem occurred configuring root project '...' 에러가 발생함. Spring Boot 3.x 버전은 Java 17부터 지원하므로 프로젝트 및 빌드 설정을 변경해 버전을 올바르게 설정해야 함

Spring Boot 3 이후 버전은 Swagger 적용을 위해 springdoc-openapi(github)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

HTTPS는 기존 HTTP 프로토콜에 데이터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에서 HTTPS 프로토콜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IntelliJ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환경 변수가 설정되도록 하여 민감 정보를 관리해보자!

Amazon S3를 활용하여 이미지를 업로드, 조회, 삭제 등을 구현해보고자 함

카카오 OAuth2 소셜 로그인 구현 중 발생한 에러를 정리하였다

Spring Boot 컨테이너가 Redis 컨테이너와 연결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김영한님의 강의 내용을 기반으로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를 위한 첫 번째 팁을 정리했다.

ML 서버에서의 처리 시간으로 인한 API 서버의 병목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메시지 큐를 통한 비동기 통신을 구현해보았다.

@Transactional은 스프링에서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를 가능하게 해주는 어노테이션이다. 이 어노테이션을 클래스나 메서드에 붙이면, 해당 작업이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묶여 모든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될 경우 커밋(commit) 되고, 도중에 예외가 발생하면 모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