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정보들의 가공을 책임지는 컴포넌트
모델은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데이터를 나타낸다. 데이터베이스, 처음 정의하는 상수, 초기화 값, 변수 등을 뜻한다.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한 후 모델의 변경사항을 컨트롤러와 뷰에 전달한다.
모델 규칙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부분, 즉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의미
MVC 패턴은 여러개의 뷰가 존재할 수 있으며, 모델에게 질의하여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뷰는 받은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역할
모델에게 전달받은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지 않아야한다.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변경하게 되면 모델에게 전달하여 모델을 변경해야 한다.
뷰 규칙
모델(Model)과 뷰(View) 사이를 이어주는 브릿지(Bridge) 역할
모델이나 뷰는 서로의 존재를 모르고 있다. 변경 사항을 외부로 알리고 수신하는 방법만 있음. 컨트롤러(Controller)는 이를 중재하기 위해 모델과 뷰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모델이나 뷰로부터 변경 내용을 통지 받으면 이를 각 구성 요소에게 통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여 발생하는 변경 이벤트들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컨트롤러 규칙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위해서!
결합도가 높아진 시스템은 유지보수 작업 시 다른 비즈니스 로직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사소한 코드의 변경이 의도치 않은 버그를 유발할 수 있고 또 고칠 코드의 양도 많아짐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UI 시스템의 핵심 컴포넌트를 모델, 뷰, 컨트롤러로 나누고 각 컴포넌트가 자신의 수행 결과를 다른 컴포넌트에게 전달하는 프로그래밍 방식을 사용한다.
MVC 패턴을 가진 시스템의 각 컴포넌트는 자신이 맡은 역할만 수행한 후 다른 컴포넌트로 결과만 넘겨주면 되기 때문에 시스템 결합도를 낮출 수 있다. 유지보수 시에도 특정 컴포넌트만 수정하면 되기 때문에 보다 쉽게 시스템 변경이 가능하다. (화면의 변경은 only 뷰, 데이터나 비즈니스 요건이 변경은 only 모델, 뷰와 모델 변경에 따른 일부 컨트롤러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