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active Mongolian Question Answer Matching Model Based on Attention Mechanism in the Law Domain (2022)

Minhan Cho·2022년 11월 14일
0

LegalAI Papers Review

목록 보기
2/4

Yutao, P., Weihua, W., & Feilong, B. (2022, October). Interactive Mongolian Question Answer Matching Model Based on Attention Mechanism in the Law Domain. In Proceedings of the 21st Chinese 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Linguistics (pp. 896-907).

0. Abstract

Mongolian QA라는 QA task가 아니라 몽골어 QA on legal domain임!! Interactive Mongolian Question Answer Matching Model (IMQAMM)을 제시하는데, attention에 기반하였음

key part는 1. interactive information enhancement & 2. max-mean pooling matching.

  1. Interactive information enhancement는 1-1) sequence enhancement와 1-2) multi-cast attention을 포함함. 1-1) Sequence enhancement는 subsequent encoder와 함께 enhanced sequence representation을 제공하고, 1-2) multi-cast attention은 여러 개의 attention mechanism을 통해 scalar features를 생성함

  2. Max-Mean pooling matching은 aggregation을 위해 matching vectors를 잡아냄

그 외에도 Mongolian morpheme representation 만들었음

  • take-home message

한국어도 몽골어와 비슷한 점 공유(data 부족, sparse data)하니까 IMQAMM의 여러 module 차용할 수 있지 않을까?? 다만 BERT 있으니까 BERT로 바꿔껴보고

그리고 text matching에 관해서 related work 좀 더 상세히 보면 좋을 듯

1. Introduction

question answer matching은 text matching의 일부이고, text matching은 IR, Natural Language Inference (NLI), QA, dialogue system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

IR에 관해서는, text matching은 query와 document간의 relevance를 계산해서 relevant document를 셀렉할 수 있게 함. NLI에서는 premise가 hypothesis를 infer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데에 쓰이고, QA에서는 given Q에 most relevant A를 찾는 데에 쓰임.

NN이후로 text matching은 2가지로 나뉘는데, representation-based match와 interatction-based match임. representation-based match는 2개 sequence를 같은 ebmedding space의 representation으로 만드는 데에 주안점이 있고, 후자 interaction-based match는 sentence pair의 information을 계속 맞춰보면서 representation learning process를 향상시키는 것. 보통 interaction-based match가 representation-based match보다 더 잘 맞는데, 이는 representation-based match는 lexcial & syntactic information이 부족하기 때문. 반면, interactive information은 sentence pairs의 interactive information에서 이득을 취할 수 있기 때문. 그래서 요즈음은 interaction-based matching이 text matching의 대세

몽골어 legal QA system이 지지부진한 이유: lack of labeled corpus & data-sparse problem (몽골어는 한국어와 같이 교착어agglutinative language임)

본 논문에서 몽골어 law domain QA dataset을 만들고, interactive information enhancement와 max-mean pooling matching을 결합한 IMQAMM를 제안함.

Interactive information enhancement는 feature vectors를 cocnat해서 enhanced sequence representation을 만들고, compression function을 사용해서 feature vectors를 scalars로 만드는데, 이 과정에서 data-sparse issue 때문에 multiple attention mechanism이 사용됨. Max-mean pooling matching은 형태소 representation 사이에 maximum과 average cosine similarities를 계산함

QA에서 Siamese LSTM을 사용한 MaLSTM이 많이 사용되었다는데(Mueller and Thyagarajan, 2016), 코드는 링크참조

previous works, 뭐 좋다 이거야 그런데 low-resource agglutinative language(like 몽골어, 한국어)에는 적합하지 않음.

3. Model Architecture

3.1 Input Layer

원래는 몽골문자를 latin alphabet으로 바꾸고
-> proofreading: 몽골문자 한 글자가 latin alphabet의 여러 개로 대응되므로 이 문자가 맞는가하는 것을 확인
-> suffix segmentation 진행해서 independent taining unit을 만듦

몽골어 morpheme embedding은 Skip-gram을 사용한 Word2Vec으로 구성하였음

3.2 Context Encoding Layer

bi-LSTM 사용

3.3 Interaction Layer

LSTM에 기반한 sequence enhancement가 사용된 interactive information enhancement을 소개하고, 4가지 attention mechanism variants가 사용된 multi-cast attention을 소개함

3.3.1 Sequence Enhancement

ESIM(Chen elt al., 2017)에 영향을 받아, non-parameterized comparison strategy를 sequence enhancement에 적용함.

일단 첫번째로, BiLSTM으로 encoding된 Q-A pair의 similarity matrix 계산
(shape은 len(q) x len(a) 혹은 len(a) x len(q)가 될 것임)

soft alignment attention을 사용, attentive vector of a weighted summation of the other hidden states를 계산

q~i\tilde q_i{aˉj}j=1n\{\bar a_j\}_{j=1}^n의 가중합이며, a~j\tilde a_j{qˉi}i=1m\{\bar q_i\}_{i=1}^m의 가중합

위에서 구한 original hidden state와 attentive vector를 이용해 difference, element-wise product를 계산하고, original hidden state, attentive vector와 함께 concat해버림

3.3.2 Co-Attention

co-attention이라는 것은 pair-wise attention mechanism으로, pair-wise attention mechanism은 sentence(든 뭐든) pairs 사이의 natural symmetry를 포함함. co-attention은 attention mechanism의 variant로, 여기서는 4가지 variants 사용함: (1) max-pooling co-attention, (2) mean-pooling co-attention, (3) alignment-pooling co-attention, (4) self attention임

처음으로 할 것은, q와 a의 가장 처음 morpheme embeddings 사이에서 similarity matrix(sijs_{ij})를 계산함으로써 q와 a를 연결하는 것

MM은 trainable parameter matrix임

  • (1) max-pooling co-attention, (2) mean-pooling co-attention

extractive pooling은 max-pooling과 mean-pooling을 포함하는데, max-pooling co-attention은 maximum effect에 기반하여 반대편 sequence의 각각의 형태소에 대해 해당 sequence의 형태소를 attend하는 것을 목표로 함. mean-pooling co-attention은 똑같은데 average effect에 기반한다는 게 다름

q1,q2,a1,a2q'_1, q'_2, a'_1, a'_2q,aq, a의 co-attentive representation임

  • (3) alignment-pooling co-attention

위의 sequence enhancement와 비슷, 각 형태소를 다른 sequence에 softly align하는 역할

  • (4) self attention

self attention은 q와 a에 따로 적용됨, 여기서 q와 a 대신 sentence representation은 x로 표현됨

3.3.3 Multi-Cast Attention

multi-cast attention은 multiple attention mechanism으로부터 multi-casted feature vector를 뽑아내줌. qqaa로 표현되었던 형태소 embedding은 xx로 대체되었으며, x~\tilde x는 attentive vector임. FcF_c는 compression function [;][;]는 concat, \odot는 element-wise multiplication

Factorization Machiens(FM)은 어떠한 real-valued feature vector에 대해서도 prediction을 만들 수 있으므로, FM을 compression function으로 사용하여 casted scalar를 도출함

where w0R,wiRn,v1,...,vnRn×kw_0 \in R, w_i \in R^n, v_1, ..., v_n \in R^{n \times k}, kk는 FM model의 latent factors 숫자임

각각의 몽골어 q-a pair에 대해 상술한 (1), (2), (3), (4) attention들을 적용함.

각 attention mechanism마다 scalar 3개씩 나오므로, final multi-casted feature vector tR12t \in R^{12}임. 각 형태소마다, enhanced sequence representation TT와 multi-casted feature vector tt를 concat해서 새로운 representation Oq,OaO^q, O^a를 만들 수 있는데, 다음 수식과 같음

이 다음에는 BiLSTM 사용해서 각 time step의 OqO^qOaO^a의 interaction information을 encoding함

3.4 Matching Layer

q-a pair match를 위해, max-mean pooling matching strategy를 가져왔음. 우선, cosine function을 다음과 같이 정의

sim=fx(v1,v2;W)sim = f_x(v_1, v_2;W)

v1,v2v_1, v_2dd-dimensional vector로, 서로 match해볼 vector이며, WRl×dW \in R^{l \times d}는 trainable parameter matrix, WWll은 perspective의 갯수임. 각 dimension space(각각 다른 ll)마다 different weight를 줄 수 있으며, kk-th perspective에서의 matching value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음

simk=cosine(Wkv1,Wkv2)sim_k = cosine(W_k \circ v_1, W_k \circ v_2)

\circ는 element-wise product를 의미하고, WkW_kWWkk-th row임

question의 각 time step 마다의 representation을 answer의 모든 time step의 representation과 비교함(from answer to question도 있음). 이 matching direction을 qaq \to a로 나타낼 수 있음

  • Morpheme Matching

q-a pair의 initial 형태소 embedding에 대해 max-mean pooling matching strategy를 정의하자면 다음과 같음

  • Interaction Matching

interaction 이후의 q-a pair representation에 대해, 이 또한 max-mean pooling matching strategy를 정의할 수 있는데, bi-directional임

그리고 max-mean pooling matching의 결과물들을 죄다 concat해줌

where i[1,...,m]i \in [1,...,m], maxmax는 element-wise maximum이고, meanmean은 element-wise mean임. simjasim^a_j의 계산과정은 simiqsim^q_i와 같음

3.5 Aggregation Layer

matching vector simiqsim^q_i(matching direction qaq \to a)와 simjasim^a_j(matching direction aqa \to q)를 aggregate하기 위해 BiLSTM 또 사용하고, BiLSTM의 last hidden state들을 concat해줌

3.6 Prediction Layer

q에 대해 a가 match하느냐의 binary classification task이므로 ffc layer 2개 거치고 softmax 씌워줌

3.7 Model training

binary cross-entropy loss를 minimize(그냥 bce 그대로임)

4. Experiments

4.1 Dataset and Evaluation Metrics

본 논문의 몽골어 qa dataset은 중국어 qa corpus에서 번역된 것도 있고, 몽골 웹사이트에서 크롤링된 것도 있음. negative sample도 만들어서 positive samples:nevative samples = 1:1이 되게 했음. 총 265,194 qa pairs, train/dev/test는 8/1/1임

4.2 Model Configuration

tensorflow
batch size 128
epoch 20
max sentence length 50
number of perspective 5
pretrained Mongolian W2V of 300-dimension
all BiLSTM의 hidden layer size 100
dropout 0.1, 모든 layer에 들어감
Adam optimizer, initial lr of 0.0005 to update parameters

4.3 Baselines

앞의 둘(SINN, DiSAN)은 sentence encoding method, 그 다음 둘(ABCNN, DRCN)은 attentive networks, 나머지(MULT, CAFE, MCAN, ESIM)은 compar-aggregate network임

1) SINN (Yang and Kao, 2020): self attention based RNN, CNN을 sentence encoding으로 사용

2) DiSAN (Shen et al., 2018): directional self attention을 encoding에 사용하고, multi-dimensional self attention을 써서 feature compression 진행

3) ABCNN (Yin et al., 2016): sentence pair modeling에 CNN 썼고, CNN 앞뒤로 attention matrix 사용

4) DRCN (Kim et al., 2019): stacked RNN 사용했고, co-attentive features 사용해서 representation 향상

5) MULT (Wang and Jiang, 2017): word-level matching을 element-wise multiplication 이용해 진행하고, CNN 사용해 aggregation

6) CAFE (Tay et al., 2017): factorization machines를 써서 alignment vectors를 scalar features compression, scalar features를 word representation의 augmentation에 사용

7) MCAN (Tay et al., 2018): attention variants 여러 개를 사용하고, multiple comparison operators 사용

8) ESIM (Chen et al., 2017): chain LSTM을 사용한 sequential inference model

4.4 Results

ESIM보다 1.23% 높은데, multi-cast attention의 영향임

MCAN과 CAFE보다 1.39%, 1.75% 높은 것은 sequence enhancement 덕분

DRCN, ABCNN보다 높은 것은 compare-aggregate networks가 attentive networks보다 interactive information 더 잘 제공함

4.5 Ablation Study

Multi-cast attention, morpheme matching, interaction matching을 각각 없앴을 때 셋 다 하빈 것보다 성능 안 나옴

5. Conclusion

IMQAMM은 interactive information enhancement, max-mean pooling matching을 합친 것임.

morpheme vector 만들고, feautre vector 여러 개를 concat해서 sequence representation을 enhance하고, multi-cast attention을 사용해서 data-sparse problem(몽골어의 특성 때문에 생기는)을 경감했음. 마지막으로 max-mean pooling matching strategy를 써서 q-a pair를 bidirection으로 match하였음

result는 뭐 SoTA 달성. 그런데 몽골어는 이전 관련 task나 model이 없었는데 SoTA라고 할 수 있나?

앞으로는 BERT 사용해서 initialization 향상시킬 거고, 그게 model performance 개선할 것으로 예상함

profile
multidisciplinary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