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이전 시간에 배운 useRef를 활용해 컴포넌트 안에 변수를 만드는 법에 대해 설명만약 컴포넌트 안에서 let 키워드를 사용하여 변수를 선언하면, 해당 컴포넌트가 생성될 때마다 해당 변수는 해당 값으로 계속 선언됨. (다음에 리렌더링되어도 값이 초기화 됨)
HTML과 JS를 사용할때, DOM에 접근하거나 선택할 일이 있으면, getElementById나 querySelector 등의 DOM selector 함수를 사용함.React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도 특정 DOM에 접근할 일이 있다. 특정 엘리먼트의 크기/위치를 알아
저번 예시와 다르게 이번엔 인풋을 여러개 관리해야 하는 상황이다!이때 처음 드는 생각은 \*\*useSate 함수\*\*와 onChange 함수를 여러번 정의하고 쓰면 되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인데 그것은 가장 최선의 방법은 아니다!가장 좋은 방법은 input에 name
이번에는 숫자 값이 아닌 input을 통해 입력받은 문자열의 상태를 관리.input 태그에 문자열을 입력하면, 바로 아래 실시간으로 입력한 문자열이 표시되고, 초기화 버튼을 누르면 입력한 문자열이 삭제되는 예제.이번엔, 문자열을 관리하니 useState 함수를 이렇게
React 16.8 버젼에 새로 도입된 Hook이라는 개념을 통해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도 상태관리...등의 기능이 가능해졌다...!useState 는 Hook 중 하나로 이 함수를 사용하면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도 상태(state) 관리를 할 수 있다.우선 맨 위에서 와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