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GBoost는 머신러닝에서 자주 사용되는 결정 트리 기반의 앙상블 학습 알고리즘입니다. Gradient Boosting 알고리즘의 확장판으로, 성능이 우수하고 실행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많은 대회와 실제 문제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XGBoost의 개념과 특징, 그리고 간단한 예제를 통해 어떻게 사용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XGBoost는 "Extreme Gradient Boosting"의 약자로, Gradient Boosting 알고리즘을 개선한 버전입니다. Gradient Boosting은 여러 개의 약한 학습자(주로 결정 트리)를 결합하여 강력한 예측 모델을 만드는 앙상블 방법론입니다. XGBoost는 이러한 Gradient Boosting을 좀 더 최적화하여 학습 속도와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Regularization(정규화): XGBoost는 L1 및 L2 정규화를 통해 모델의 복잡도를 조절하여 과적합을 방지합니다.
Sparsity Aware: XGBoost는 데이터의 결측값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희소한 데이터셋에서 유용합니다.
Pruning: XGBoost는 트리 구조를 만들 때 필요 없는 가지를 사전에 가지치기(pruning)하여 계산 효율을 높입니다.
병렬 처리: XGBoost는 여러 CPU 코어를 활용한 병렬 처리를 지원하여 학습 속도를 극대화합니다.
import xgboost as xgb
from sklearn.datasets import load_boston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from sklearn.metrics import mean_squared_error
# 데이터 로드 및 분할
boston = load_boston()
X_train, X_test, y_train, y_test = train_test_split(boston.data, boston.target, test_size=0.2, random_state=42)
# DMatrix로 변환
train_data = xgb.DMatrix(X_train, label=y_train)
test_data = xgb.DMatrix(X_test, label=y_test)
# 하이퍼파라미터 설정
params = {
"objective": "reg:squarederror",
"max_depth": 4,
"eta": 0.1,
"subsample": 0.8,
"colsample_bytree": 0.8,
}
# 모델 학습
model = xgb.train(params, train_data, num_boost_round=100)
# 예측
predictions = model.predict(test_data)
# 성능 평가
mse = mean_squared_error(y_test, predictions)
print(f"Mean Squared Error: {mse}")
DMatrix: XGBoost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구조로, 메모리 효율성을 높이고 계산 속도를 빠르게 합니다.
params: 하이퍼파라미터 설정으로, objective는 회귀 분석을 의미하고, max_depth는 각 트리의 최대 깊이를, eta는 학습률을 의미합니다.
train: 모델을 학습하는 단계로, num_boost_round는 부스팅 반복 횟수를 나타냅니다.
XGBoost는 그 효율성과 강력한 성능 덕분에 머신러닝의 여러 분야에서 필수적인 도구가 되었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XGBoost의 주요 특징과 간단한 사용 예제를 통해 기본적인 개념을 다뤘습니다. 앞으로의 프로젝트에서 XGBoost를 적극 활용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