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Swift 기초문법 강의를 보았다.
강의는 프로퍼티와 출력, 함수 그리고 데이터타입의 종류 까지 보았다.
저장 프로퍼티(Stired Property)
- let - 변경할 수 없는 상수(Constant)를 선언할 때 사용된다.
- var -변경할 수 있는 변수(Variable)를 선언할 때 사용된다.
연산 프로퍼티(Computed Property)
- 연산 프로퍼티는 그때 그때 계산한 값을 알려주기 때문에 변경할 수 있는 var를 사용하여 선언 된다.
- 매번 계산하기 때문에 값은 저장하지 않는다.
- 출력이 된다.
함수
- 함수는 특정 작업이나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입니다
이 코드블록은 호출될 때 실행되면 함수 내의 정의된 코드들이 순차적으로 실행됩니다. 예를들어 신발 끈을 묶다. 라는 행동을 함수로 만들어보면 '신발' '끈' '묶다'
func 신발끈을 묶다() {
'신발끈'
'묶다'
}
이렇게 선언함으로서 기능을 순차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이게 맞겠지? 아리까리하다....
요런 예시도 있다. 특정 키에 알맞은 몸무게를 구하는 함수
숫자
- 숫자에는 정수 타입과 실수 타입이있다.
실수에는 두가지 타입이 있다. Double 과 Flaot가 있다.
Double이 더 좋다고 들었다.
Bool - 참/거짓
이 타입은 불리안이라고도 한다.
true / false 참 과 거짓을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입니다.
문자열 - String
텍스트를 표현할 수 있다.
Character
-하나의 문자를 표현하는 데이터 타입입니다.
무엇인지는 알겠으나,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지는 잘 모르겠다.
Tuple
- 튜플은 여러 값을 하나로 그룹화한 값이다.
이것도 무엇인지는 알겠으나,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지는 잘 모르겠다.
이로써 오늘은 프로퍼티와 출력, 그리고 함수, 데이터타입등을 알아보았다. 내일은 연산자와 조건문 반복문을 학습해보자
그리고 계산기만들기 과제를 받았는데 기대 반 걱정 반 이다 ㅜ
잘할 수 있겠지 화이팅!!!1231212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