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열 "hello"에서 각 문자를 오른쪽으로 한 칸씩 밀고 마지막 문자는 맨 앞으로 이동시키면 "ohell"이 됩니다. 이것을 문자열을 민다고 정의한다면 문자열 A와 B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A를 밀어서 B가 될 수 있다면 밀어야 하는 최소 횟수를 return하고 밀어서 B가 될 수 없으면 -1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A | B | result |
---|---|---|
"hello" | "ohell" | 1 |
"apple" | "elppa" | -1 |
"atat" | "tata" | 1 |
"abc" | "abc" | 0 |
def solution(A, B):
for i in range(len(A)):
d = len(A)-i
slice1 = A[:d]
slice2 = A[d:]
if slice2+slice1 == B:
return i
return -1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slice를 따로 지정했는데 딱히 지정할 필요 없었던거같기도 하고.. 암튼 그렇네 기본에 충실한.. 풀이라고 해야하나?
solution=lambda a,b:(b*2).find(a)
보자마자 아 이걸 왜 생각 못했지 싶었던 풀이
람다를 사용하지 않고 풀게 된다면
def solution(A, B):
return (B * 2).find(A)
이렇게 된다
find function 을 까먹고 있었네 역시 또 이번에도 기본기에 충실해야한다는것.. 너무 과제에 매몰되어서 코딩하다 보니까 이런걸 놓치는 것 같다 과제는 있는 것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짜서 구현해내는게 대부분이다보니까 그게 맹점이 되는듯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solution(A, B):
a, b = deque(A), deque(B)
for cnt in range(0, len(A)):
if a == b:
return cnt
a.rotate(1)
return -1
deque를 쓴 사람이 많던데 queue를 사용해서 rotate 시키는 식이더라 Deque는 생각도 못해본거라 좀 신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