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v1. 과일장수]
과일 장수가 사과 상자를 포장하고 있습니다. 사과는 상태에 따라 1점부터 k점까지의 점수로 분류하며, k점이 최상품의 사과이고 1점이 최하품의 사과입니다.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다음과 같이 결정됩니다.
한 상자에 사과를 m개씩 담아 포장합니다.
상자에 담긴 사과 중 가장 낮은 점수가 p (1 ≤ p ≤ k)점인 경우,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p * m 입니다.
과일 장수가 가능한 많은 사과를 팔았을 때,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계산하고자 합니다.(사과는 상자 단위로만 판매하며, 남는 사과는 버립니다)
예를 들어, k = 3, m = 4, 사과 7개의 점수가 [1, 2, 3, 1, 2, 3, 1]이라면, 다음과 같이 [2, 3, 2, 3]으로 구성된 사과 상자 1개를 만들어 판매하여 최대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최저 사과 점수) x (한 상자에 담긴 사과 개수) x (상자의 개수) = 2 x 4 x 1 = 8
사과의 최대 점수 k, 한 상자에 들어가는 사과의 수 m, 사과들의 점수 score가 주어졌을 때, 과일 장수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k | m | score | result |
---|---|---|---|
3 | 4 | [1, 2, 3, 1, 2, 3, 1] | 8 |
4 | 3 | [4, 1, 2, 2, 4, 4, 4, 4, 1, 2, 4, 2] | 33 |
def solution(k, m, score):
answer = 0
score.sort(reverse=True) # sort
pos = -1
# print(score)
while (pos < len(score)-m):
pos += m
answer += score[pos]
# print(pos, score[pos], "answer: ", answer)
return answer*m
처음에 했던건 이렇게 안짜고 조건들을 제대로 활용을 못하고 그냥 정말 뇌를 빼고 코딩했던 것 같다
sorting 한 score를 m씩 잘라서 새로 assign 한 다음에 minimum 값 구하는식으로 접근했는데 너무 쓸데없는 연산이 많았고 score 자체를 계속 만지다보니까 시간 초과가 자꾸 떠서 좀 더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 살펴보다가 조금 발전시켰다
sorting이 되어있기 떄문에 minimum value를 찾기가 쉬웠고(가장 마지막 index에 있는 값이 minumum val)
score를 계속 자를 필요가 없었고 그냥 포인트를 옮기면서 그 위치의 값만 읽어들이면 되는 문제였다
생각보다 간단한 문제였는데 혼자 문제를 좀 꼬아서 생각해서 무겁게 푸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푸는 것도 중요하지만 경량화도 중요한 문제인듯
쉬워졌다고 느껴지면 다시 어려워지고.. 낯설다 정말 코테
def solution(k, m, score):
return sum(sorted(score)[len(score)%m::m])*m
접근 방식은 나랑 비슷한데 한줄로 짜냈다는게.....
신기해서 좀 가져와봤어요읽으면 이해는 되는데 내가 저렇게 짜진 못하네
역시 조금 더 연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