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첫 번째는 '절차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두 번째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세 번째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캡슐화 정의'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개발자 최범균은 "캡슐화만 잘해도 좋은 코드를 만들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네 번째는 '캡슐화'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꿀팁 1, "객체 데이터를 받을 때 권한을 판단하지 말기." 꿀팁 2, 객체의 기능에게 판단해달라고 하기."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다섯 번째는 '캡슐화-2'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여섯 번째는 '다형성'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객체의 타입에 따라 다르게 응답할 수 있는 능력인 다형성에 대해 살펴봅시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일곱 번째는 '추상화 정의'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추상화를 하는 방법은 2가지로 나눌 수 있는 1) 특정한 성질과 2) 공통 성질의 일반화를 이야기해봅시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여덟 번째는 '추상화'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추상화를 하지 않은 경우를 먼저 살펴봅니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아홉 번째는 '추상화'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추상화를 한 예시를 살펴보면서 추상화를 이해해 봅시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열 번째는 '추상화'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수정 중입니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열 한 번째는 '상속과 조립'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할때 상속보다는 조립을 좀 더 우선시 하는지 살펴봅니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열 두 번째는 '기능과 책임분리'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책임분리할 때 좋은 4가지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해봅시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열 세 번째는 '기능과 책임분리'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1) 계산 기능 2) 조건별 분기 처리 3) 하나의 기능에 대해 여러 기능에 대해 이야기해봅시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열 네 번째는 '의존성'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클래스, 패키지, 모듈 등에서 순환의존을 없애는 게 중요하다고 하는데 한 번 이야기 해봅시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열 다섯 번째는 '의존성'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열 여섯 번째는 '의존성 역전 원칙 DIP'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열 일곱 번째는 '인터넷 통신과 인터넷 프로토콜'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나와 친구 사이에 인터넷으로 대화를 주고 받기 위해 어떤 과정을 거칠까요?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열 여덟 번째는 'TCP/UDP'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TCP/UDP 중에서도 TCP에 대해 좀 더 이야기해봅시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열 아홉 번째는 'Port와 DNS'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아파트 호수와 같은 Port에 대해 이야기해봅시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스무 번째는 'URI와 URL'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스물 한 번째는 '웹 브라우저의 요청 흐름'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스물 두 번째는 '모든 게 HTTP'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HTTP 서버 구조와 상태와 무상태를 이야기해봅시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스물 세 번째는 'HTTP 메시지와 메서드(POST, GET)'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스물 네 번째는 'HTTP 메서드(PUT, PATCH, DELETE)'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스물 다섯 번째는 'HTTP 메서드 활용'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 4가지를 이야기해 봅시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스물 여섯 번째는 'HTTP API 설계'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컬렉션 설계와 스토어, 그리고 HTML FORM을 이야기해 봅시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스물 일곱 번째는 '2xx - 성공'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200부터 204 요청까지 이야기해 봅시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스물 여덟 번째는 '3xx - 영구적인 리다이렉션'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스물 아홉 번째는 '3xx - 일시적인 리다이렉션'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서른 번째는 '4xx - 클라이언트 오류와 5xx - 서버 오류'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서른 한 번째는 'HTTP 일반 헤더-1'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강의와 도서 인용으로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서른 두 번째는 'HTTP 일반 헤더(쿠키)-2'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김영한님과 남궁성님 의 강의에서 다루고 있는 쿠키 챕터를 다룹니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서른 세 번째는 'HTTP 일반 헤더(세션)-3'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헷갈릴 수 있는 쿠키와 세션 관계를 다루고 있습니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서른 네 번째는 'HTTP 캐시와 조건부 요청-1'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김영한님의 강의에서 다루고 있는 캐시 챕터를 다룹니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서른 네 번째는 'HTTP 캐시와 조건부 요청-2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김영한님의 강의에서 다루고 있는 캐시 챕터를 다룹니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서른 여섯 번째는 '캐시 제어와 조건부 요청 헤더 정리'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캐시 무효화도 같이 이야기해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서른 일곱 번째는 '토큰(Token)'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정수원의 인프런 강의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서른 일곱 번째는 'OpenID Connect?'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정수원의 인프런 강의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마흔 번째는 '서버 사이드 렌더링과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정적 리소스와 동적 리소스를 이야기 해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마흔 한 번째는 '상태와 무상태, 그리고 비연결성'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상태와 무상태의 정의와 비연결성을 이야기해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마흔 두 번째는 '자바 웹 기술의 역사?'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인프런 강의 김영한과 백기선이 말하는 Spring Boot를 이야기해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마흔 세 번째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등장?'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스프링 프레임 워크 등장 전, EJB(Enterprise Java Bean)과 스프링 프레임 워크를 이야기해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마흔 네 번째는 '스프링 부트의 등장?'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마흔 다섯 번째는 '웹 서버와 서블릿 컨테이너'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웹 서버와 스프링부트, 그리고 JAR와 WAR를 이야기해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마흔 여섯 번째는 '서블릿 컨테이너 초기화-1'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서블릿 컨테이너와 스프링 컨테이너, 그리고 서블릿 초기화 개발를 이야기해봅시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마흔 일곱 번째는 '서블릿 컨테이너 초기화-2'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왜 굳이 애플리케이션 초기화 개념을 만들었을까?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마흔 여덟 번째는 '스프링 컨테이너 등록'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마흔 아홉 번째는 '내장톰캣'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쉰 번째는 '스프링 부트'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쉰 한 번째는 '스프링 부트 스타터와 라이브러리 관리'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쉰 두 번째는 "스프링 부트의 자동구성"입니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쉰 세 번째는 '순수 라이브러리 만들기'입니다 :)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쉰 네 번째는 "자동 구성 라이브러리 만들기"입니다 :)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쉰 다섯 번째는 "자동 구성 이해"입니다 :)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쉰 여섯 번째는 '외부설정-1'입니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쉰 일곱 번째 '외부 설정-2'입니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쉰 여덟 번째는 '설정 데이터'입니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쉰 아홉 번째는 'Environment와 @Value)입니다 :)
백엔드 주니어 개발 사전 예순 번째는 외부 설정(@ConfigurationProperties)-4입니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사전 예순 한 번째는 '프로필'입니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사전 예순 세 번째는 마이크로미터입니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사전 예순 네 번째는 프로메테우스와 그라파나입니다.
백엔드 주니어 개발사전 예순 다섯 번째는 제이미터입니다.
리눅스 기초 열 두 번째는 'PIPE'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