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ou don't know JS와 https://poiemaweb.com/ 를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클로저는 함수가 속한 렉시컬 스코프를 기억하여 함수가 렉시컬 스코프 밖에서 실행될 때에도 이 스코프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뜻합니다.
클로저는 자신이 생성될 때의 환경을 기억해야 하므로 메모리 차원에서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DOCTYPE html>
<html>
<body>
<button class="toggle">toggle</button>
<div class="box" style="width: 100px; height: 100px; background: red;"></div>
<script>
var box = document.querySelector('.box');
var toggleBtn = document.querySelector('.toggle');
var toggle = (function () {
var isShow = false;
// ① 클로저를 반환
return function () {
box.style.display = isShow ? 'block' : 'none';
// ③ 상태 변경
isShow = !isShow; // -> isShow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
})();
// ② 이벤트 프로퍼티에 클로저를 할당
toggleBtn.onclick = toggle;
</script>
</body>
</html>
<!DOCTYPE html>
<html>
<body>
<p>클로저를 사용한 Counting</p>
<button id="inclease">+</button>
<p id="count">0</p>
<script>
var incleaseBtn = document.getElementById('inclease');
var count = document.getElementById('count');
var increase = (function () {
// 카운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자유 변수
var counter = 0; // -> 전역변수로 사용가능하다...!
// 클로저를 반환
return function () {
return ++counter;
};
}());
incleaseBtn.onclick = function () {
count.innerHTML = increase();
};
</script>
</body>
</html>
function Counter() {
// 카운트를 유지하기 위한 자유 변수
var counter = 0; // -> priavte를 흉내낼 수 있다.
// 클로저
this.increase = function () {
return ++counter;
};
// 클로저
this.decrease = function () {
return --counter;
};
}
const counter = new Counter();
console.log(counter.increase()); // 1
console.log(counter.decrease());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