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프링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객체지향 쿼리 언어
JPQL도 SQL과 같이 서브 쿼리 지원. 대신 WHERE, HAVING 절에만 사용 O, SELECT, FROM 절에서는 사용 X\+) 하이버네이트의 HQL은 SELECT 절 O, 일부 JPA 구현체 FROM 절 O서브 쿼리 사용 예서브 쿼리 함수NOT EXISTS
스프링 잉
fetch =FetchType.LAZY > cascade =CascadeType.All 에 대해서 알아보자 > object references an unsaved transient instance 에러가 떳다 어떻게 해결할건지 뭘 알아야하는지 적어보는 시간이 될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값 타입
값 타입은 복잡한 객체 세상을 단순화하려고 만든 개념이다. 따라서 값 타입은 단순하고 안전하게 다룰 수 있어야 한다.임베디드 타입 같은 값 타입을 여러 엔티티에서 공유하면 위험하다.이러한 "부작용"을 막기 위해서는 값을 복사해서 사용!값(인스턴스)을 복사해서 사용해야
스프링 스터디 ; 템플릿 메서드 패턴과 콜백 패턴
강의링크 핵심 기능 vs 부가 기능 코드는 핵심 기능과 부가 기능으로 나뉩니다. 핵심 기능은 해당 객체가 제공하는 고유의 기능! 입니다. 그리고 부가 기능은 핵심 기능을 보조하기 위해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핵심 기능과 부가 기능이 함께 섞여 있으면 구분이 잘 안되고

[Spring] 스프링이란?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 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 동적 웹 사이트 개발을 위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주요 특징제어의 역전프로그래머가 외부 라이브러리 코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반대로 동작하는 것을 의미하며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객체의 생명주기를 관리한다. 정

springboot - exception 처리방법
그래서 3가지만 알아둘거다HandlerExceptionResolver.resolveExceptionHandler()에서 어떤 ExceptionResolver를 택하는지 결정한다.다음의 3가지의 ExceptionResolver가 존재함ExceptionHandlerExce
회원 관리 예제(스프링 기초)
비즈니스 요구사항 정리회원 도메인과 리포지토리 만들기회원 리포지토리 테스트 케이스 작성회원 서비스 개발회원 서비스 테스트데이터: 회원ID, 이름기능: 회원 등록, 조회아직 데이터 저장소가 선정되지 않음(가상의 시나리오)컨트롤러: 웹 MVC의 컨트롤러 역할서비스: 비즈니
스프링 웹 개발 기초
파일을 그대로 브라우저에게 전달한다스프링은 정적 컨텐츠 기능을 자동으로 제공 static 폴더에 만들어서 넣으면 된다컨트롤러(우선순위)에서 static이 있는지 확인서버에서 html을 변형을 해서 내려주는 방식변환을 해서 html로 만든다컨트롤러에서 return tem
[Spring]객체지향 설계 원칙의 적용
객체지향 설계원칙(SOLID) 단일 책임원칙(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개방-폐쇄 원칙(Open/Closed Principle) 리스코프 치환 원칙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의존관계 역전 원칙
스프링 핵심원리 - 기본편(후기)
스프링으로 프로젝트 한두개 만들어봤다면 이 강의 정말 강추다...왜냐면 지금 듣고있는데 정말 소름돋는다.내가 만든 프로젝트는 이제까지 그냥 SOLID 원칙을 밥말아먹은 코드구나 이생각이 들면서 진짜 깨달음을 얻어버린다...
스프링 이모저모 - 2
대중적인 웹 시스템클라이언트 -> 웹 서버(정적 콘텐츠) ->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앱 로직) -> DB멀티 쓰레드에 대한 부분은 WAS 가 처리서블릿HTTP 통신을 사용하는 웹 생태계에서 HTTP 요청과 응답 사이의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연결 확인
코틀린 + Spring
Nest js 랑 너무 비슷해서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었다.단지 초기셋팅 부분이 다른데 그부분을 숙지하고 배포부분도 아마 익숙해지면개발하는데 큰 문제는 없어보였다.오히려 nest js 보다 좀 더 간편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nest js 에서는 interface 를 적용
SpringBootTest 정리
테스트 코드를 자다보면 @SpringBootTest, @Runwith, @Mock, @MockBean, @Spy, @InjectMock 등의 다양한 어노테이션을 볼 수 있다.JUnit4, Junit5에 따라서 조금 사용방법이 다른점이 있고,SpringBoot버젼에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