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키텍처
[Architect] 언제부터 좋은 아키텍처를 해야 하나?
좋은 아키텍처에 대한 공부는 계속 해야하지만, 좋은 아키텍처가 현재 우리 팀에 좋은 아키텍처인지는 확실하지 않음. 따라서 현재 팀이 좋은 아키텍처를 얼마나 숙련도 있게 다룰 수 있는지가 좋은 아키텍처의 순기능으로 동작할지 아니면 오히려 악기능이 될지 결정을 하게 될 것
DDD 레이어드 아키텍처에 대하여
우리는 일반적으로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도메인 모델과 함께 사용자 인터페이스, 인프라스트럭처, 외부 서비스 연동 컴포넌트 등 다양한 것을 구현해야 하는데요.
안드로이드 아키텍처 패턴 MVVM (ViewModel)
MVVM은 Model - View - ViewModel의 줄임말로 아키택처 패턴의 일부이다.MVVM 패턴은 다음과 같은 장점들을 가지게 된다.최대한 작은 기능으로 나눈다.테스트가 쉬워지고 관리하기가 용이하다.SOLID 구조를 지향약한 결합 컴포넌트를 가지게된다.가장 큰
WEB - WAS 연결 에러 해결 로그
nginx 클러스터와 spring 클러스터를 연결함에 있어 문제가 발생하였다. 컨테이너를 직접 연결하였을 땐 접속이 잘 되었다 → 즉, 스프링부트에는 문제가 없음 1️⃣ 그래서 nginx 설정을 변경하였다. 참고 https://okky.kr/article/40

Nginx vs. Apache
웹 서버는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읽힐 수 있는 문서 처리를 하며 일반적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의 앞단에 배치된다. 동적인 리소스는 WAS에서 처리하고 정적인 리소스는 WEB에서 처리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서버를 구성할 수 있다. 웹 서버로 사용되는 것 중 가장 대표적인
Docker를 이용한 3 Tier 구조 만들기
web(nginx) - was(apache tomcat) - db(mysql)mysql과 spring-boot 컨테이너 2개를 띄워주는 docker-compose.yml 파일spring-boot의 경우 현 위치에 있는 Dockerfile을 참조하여 만든 image를 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