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 접근성

시멘틱 태그와 헷갈리기 쉬운 HTML 태그들
이 포스트에서는 시멘틱 태그, 웹 접근성, SEO의 개념에 대해서 정리하고, 헷갈리기 쉬운 HTML 태그들을 비교할 것이다. 얼마 전에 보았던 면접 내용을 복기하면서, 부끄럽게도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질문들에 대해 제대로 답변하지 못한 기억이 나서 정리해본다. 포스팅

웹 접근성(Accessibility, a11y)
웹 접근성은 모든 신체적 한계, 환경적 한계를 고려해 개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웹 접근성을 따르는 개발은 장애가 있거나 노령으로 인한 신체 변화, 여러 기기 환경을 사용하는 모든 사람이 웹 사이트와 도구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 라는하을 의미합니다. WCAG(Web

[회고] - 네카라쿠배 프론트엔드 2기
2021.07.12부터 2022.01.28까지의 네카라쿠배 프론트엔드 2기 과정을 회고하고, 앞으로의 계획을 작성한 글입니다.

웹 접근성 | WAI-ARIA
접근가능한 리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Accessible Rich Internet Application, ARIA)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웹 콘텐츠와 웹 어플리케이션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정의하는 여러 특성특히 JavaScript를 사용하여 개발한 웹 어플리

[web]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 사용자가 장애 유무 등에 관계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콘텐츠를 동등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대체 텍스트 : 텍스트 아닌 콘텐츠는 그 의미나 용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대체 텍스트를 제공해야 한다.멀티미디어 대체 수단 : 멀티미디어 콘텐츠

[web] 웹 표준 및 웹 접근성 용어정리
원본 보고서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http://news.seoul.go.kr/snap/doc.html?fn=5552af1b5fb910.17981163.pdf&rs=/wp-content/blogs.dir/30/files/2014/01/장애인이나 노인과 같

웹 표준과 웹 접근성
정의 : 어떠한 운영체제나 브라우저를 사용해도 동일한 컨텐츠를 볼 수 있도록 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웹 표준 관련 기술\-> 구조 : HTML & XML\-> 표현 : CSS\-> 동작 : Script웹 표준의 장점브라우저와 OS에 관계없이 하나의 코

웹 표준과 웹 접근성
웹에 접속하는 브라우저의 종류나 버전에 따라서 화면에 렌더링되는 모습에 차이가 있게 되는데요. 모든 사용자에게 어떠한 환경에서 접속하든 같은 화면을 보여주고 정보와 의미를 잘 전달하기 위해 제시된 표준안에 따라 정해진 기술과 규칙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웹표준은 월드 와

웹 접근성을 고려하여 HTML 설계해보기
제대로 된 코드를 보고나니 나는 여태까지 개발을 하면서 진정으로 웹 접근성을 고려하면서 html구조를 설계해본 적이 단 한번도 없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시맨틱 태그에 대한 고려는 단순히 div대신 section이나 article 태그를 사용하는 것에서 그치고, 화면에
[Front-End] 웹 접근성
thumbnail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이란 장애인 고령자 등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입니다.웹은 기본적으로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웹이 이 설계 목표를 달

웹 표준(Web Standard)
웹에서 사용되는 표준 기술이나 규칙이다. 웹 브라우저, 웹 사이트를 만들 때 웹 표준을 지킨다면 어떠한 운영체제나 브라우저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결과를 볼 수 있다.웹 브라우저는 웹 표준을 기반으로 만들어지는데 회사마다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들에게 동
HTML Form 코딩 (학습 10일차 TIL)
210622 오늘은 form 형식 코딩에 관하여 학습했다.input에 required(필수적으로 입력할 요소)를 써주면 입력란을 작성하라는 말풍선이 나타난다.input - autofocus = 자동 커서(1개만 가능)input - type="search"로 하면 입력한
HTML 학습 3일차 (8일차 TIL)
210618 시간이 느린듯 빠르게 지나간다.오늘은 ul, dl, dt, dd 활용에 대해서 학습했다.VSC Short cut! + tab 해도 HTML5형식의 문서 구조가 자동 완성 된다.내어쓰기 Shift + tab현재 라인 이동 - (이동할 부분 선택) Alt +
HTML 학습 2일차 (7일차 TIL)
210617 오늘은 HTML 태그 중 링크(a), 이미지(img), 목록(list) 태그에 관해 학습했다.VSC 자동 태그 닫기가 적용이 안된다면 하단에 HTML 설정이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창 크기가 작어서 긴 문장 등을 보기 불편하면 alt + z 키를 누른다.웹
웹 표준(Web Standard)
월드 와이드 웹의 측면을 서술하고 정의하는 공식 표준이나 다른 기술 규격을 가리키는 일반적인인터넷을 이용할때 같은 웹 페이지라면 어느 브라우저를 사용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그 웹페이지가 똑같이 보이고 정상적으로 작동을 해야한다산업표준이 왜 존재하는지, 도량형이 왜 존재
웹 접근성과 웹 표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웹 콘텐츠를 인지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내용이 쉬워야 하며, 견고성을 지녀야 합니다. 즉 제약을 가진 사용자(장애인, 노인 등), 혹은 어떠한 기술환경에서도 전문적인 능력 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