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더리움
솔리디티 기본타입
솔리디티에 기본 자료형들을 정리하였다."기본에 집중하고, 다시 쌓아가자"🚀솔리디티에서 다양한 테스트를 통하여 문법이 익숙해진 후 실제 배포환경과 비지니스 서비스와 잘 융합되도록 인사이트를 넓혀가기를 !!!🙏

Ethereum white paper 톺아보기
이더리움 백서에 담긴 내용 중 비트코인 백서와 중복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간단히 정리해 보았다.Alternative Blockchain Application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몇가지 응용 사례에는 네임코인, 컬러드 코인, 메타코인 등이 있다. 이 코인들의 특징을 간
이더리움 백서
비트코인은 하나의 상태변환 시스템 상태(state, 비트코인 소유권 현황으로 이루어짐) + 상태변환함수(state trasition function, 상태와 트랜잭션을 받아서 결과로 새로운 상태를 출력해줌)로 구성: 비트코인 장부에서의 상태변환비트코인에서의 '상태':

[Blockchain] Mastering Ethereum Ch.5 요약
지갑은 사용자의 키를 보관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다.이더리움 지갑이 이더 혹은 토큰을 보유한다는 오해가 있는데, 엄격히 말하면 지갑은 단지 키만 보유한다.이 말은 지갑 없이도 계좌의 잔액을 확인하는 독립적인 방법이 있음을 의미한다.또한 사용자는 지갑에 있는 키로 트랜잭션

[Blockchain] Mastering Ethereum Ch.4 요약
이더리움은 외부 소유 계정(EOA), 컨트랙트라는 두 가지 유형의 계정을 갖고 있는데, 이 때 디지털 개인키(private key), 이더리움 주소, 디지털 서명을 통해 EOA의 이더 소유권을 확립한다.개인키는 비공개로 유지되어야 하고, 네트워크로 전달된 메시지에 나타

window.ethereum이란?
window.ethereum은 메타마스크에서 제공하는 자바스크립트 객체로, 이더리움 블록체인과 상호작용하는 데 사용한다.
Ethereum 101
What is Ethereum?: 블록체인 기반의 소프트웨어 플랫폼Ether라고 불리는 고유한 암호화폐를 사용한다.비트코인과 달리 이더리움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개발자들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도록 한다. 이는 스마트폰 앱과 비슷하지만 ‘탈중앙화’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금융상품 CDS를 블록체인 컨트랙트로 구현하기 [ DeFi 프로젝트 ]
`DeFi`가 뭔지 아는가? 나도 잘 모른다. 하지만 DApp과 DAO 처럼, `Decentralized`와 `Finance`라는 단어의 약어이니 `탈중앙화된 금융`이라는 것은 알겠다. 내가 아는 `DeFi` 프로젝트는 유니스왑이나 Maker DAO의 프로젝트가 있다.

[Blockchain] Mastering Ethereum Ch.3 요약
이더리움 클라이언트는 이더리움 사양을 구현하고 다른 이더리움 클라이언트와 P2P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다.이더리움은 다른 블록체인보다 네트워크에서 실행되는 구현의 다양성이 더 크다.블록체인의 건전성(health), 복원력(resilience)

[Blockchain] Mastering Ethereum Ch.2 요약
이더리움의 화폐 단위는 이더(ether)이다. 이더리움은 시스템이고, 이더가 화폐이다.이더리움 계정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애플리케이션이라는 의미의 '지갑(wallet)'이다.지갑은 사용자의 키(key)를 보유하고, 사용자를 대신하여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브로드캐스트

[Blockchain] Mastering Ethereum Ch.1 요약
실용적인 관점에서 이더리움은 스마트 컨트랙트라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오픈 소스에 기반을 둔, 전 세계에 걸쳐 탈중앙화된 Computing Infra structure 이다.블록체인을 사용해 시스템의 상태 변화를 동기화하고 저장하며, ether라고 하는 암호화폐를 이용하

TIL 32 - Klaytn, Ethereum and Wemix
클레이튼 생태계 및 논리적 서브 네트워크 (CCN, ENN, SCN)엔드포인트 노드(EN)를 통해 제출된 트랜잭션을 확인하고 실행하는 코어 셀(CC, Core Cell)로 구성된다. CCN은 네트워크 전체에서 블록을 생성하고 전파한다.ENN은 주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TIL 28 - 이더리움 월렛 개발
니모닉(Mnemonic)이란 결정적 지갑에서 난수 12개의 영단어로 인코딩한 영단어 그룹으로, BIP-39에서 제안되었습니다.암호화폐 지갑은 비대칭키 암호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때 공개키와 개인키(=비밀키)가 사용이 되는데, 이 개인키를 사람이 쓰기 편하게 만들어진 것

TIL 25 - 이더리움
비트코인화폐 시스템 특화튜링 불완전어떤 사용자의 트랜잭션에 있는 UTXO를 확인하여 이중지불이 아니면 정상적인 거래로 판단한다PoW이더리움범용 플랫폼튜링 완전EVM트랜잭션에 있는 State 변화를 EVM이라는 환경에서 실행 후 확인이 가능하면 정상적인 거래로 판단한다.
오픈제플린과 ERC20
디앱(DApp) 개발에서 표준의 중요성은 협력의 효율성, 호환성, 개발의 신속에 있다.https://www.openzeppelin.com/오픈제플린(Openzeppelin)은 높은 보안의 디앱 표준을 제시하며, Access, ERC20, ERC721, ERC1
토큰
일반적인 의미의 토큰(Token)은 기호 또는 상징을 의미하며, 어떠한 사용목적의, 사소한 내재가치를 지닌, 사적으로 발행한 물리적인 코인(동전)을 지칭한다. 이러한 토큰은 사용 용도와 소유가 크게 제한된다. 하지만 블록체인에서의 토큰은 이러한 기존의 의미를 완벽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