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 Way-Handshake

TCP 통신계층 + JavaScript 기본지식 2
Transport Layer(전송 계층)은 End Point 간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입니다. 데이터를 순차적이고 안정적으로 전달해주며, 포트 번호에 해당하는 프로세스에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데이터의 순서를 보장하고, 송수신 과정에서 메모리 한계로 데

HTTP 문제점 및 wireshark
http사이트에서 로그인을 하거나, 등등 업무를 볼 때 한번쯤 브라우저 창에서 위험할 수 있다는 경고를 받은 적이 한번 쯤은 있을 것이다. 이유는 모른 채 그런가 보다~ 하고 넘어갔는데 오늘 wireshark를 통해 http 통신을 모니터링 해보면서 왜 위험한지 배우게

3-Way Handshake & 4-Way Handshake
3-Way Handshake와 4-Way Handshake의 패킷을 직접까보며 알아보자
[ 230407 TIL ] UMC 서버 스터디 - 데이터베이스, 관계형데이터베이스 | TCP 3-way handshake, 4-way handshake | REST
데이터베이스는어떤 도메인에 필요한 데이터를 모아서, 구조화 시켜놓은 모음이라 할 수 있다.구조는 열과 행으로 이루어진 테이블, Key-Value, Documentation 등등 다양한 구조일 수 있겠다.DB는 여러 사람이 공유하고 사용할 목적으로 관리되는 정보의 모음이

TCP 연결 설정 및 종료 과정과 흐름제어/혼잡제어/오류제어
IT에 종사하는 사람들이라면 네트워크 7계층(OSI 7 LAYER)이라는 것을 적어도 1번은 들어보았을 것이다. 이 중에 4계층인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은 종단간의 데이터 교환을 신뢰성있게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계층이다. 여기서 말하는 종단이란 사용

[네트워크] TCP 3-Way Handshake & 4-Way Handshake
TCP 3-way handshake & 4-way handshake

12/21 배포(2) 와 http,https
배포 두번째시간. 이번에는 http접속시에 주의 요함이라고 뜨는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부터 시작하였다.이 주의요함이 자물쇠형태로 바꾸는 것을 하기전에 이것이 왜 주의 요함이고, 왜 https를 사용해야하는지에 대해 알기위해서는 우선 네트워크부터 알아야한다.먼저 와이어

[React] 악수를 3번? 3-Way-Handshake, 주소창에 자물쇠를 붙이자! HTTPS/SSL/TLS, 동적파일 배포해보자! Frontend-Server
와이어샤크란 실시간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패킷 교환 과정을 포착하는 도구 중 하나이다.80번 포트와 443번 포트💡 표시되어 있는 80은 http를 의미하며, 443포트는 https를 의미한다.이 포트 번호들은 생략이 가능하다!!와이어샤크를 사용하면 api의 문제인지
3-way handshake, 4-way handshake란?
TCP에서 통신을 하는 장치간 서로 연결이 잘 되어있는지 확인하는 과정TCP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Connection Establish) 하는 과정양쪽 모두 데이터를 전송할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보장하고, 실제로 데이터 전달이 시

[Network] 6) 전송 계층: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전송 계층 신뢰성/정확성 효율성 연결형 통신 비연결형 통신TCP segment 3-way handshake SYN ACK FINSequence Number Acknowledgement Number 재전송 제어 Buffer Window Size 포트 번호UDP UDP D

[CS - 네트워크] TCP & UDP, 3 Way Handshake, 4 Way Handshake
TCP와 UDP의 차이는?TCP 연결 설정 과정(3 way)과 연결 종료 과정(4 way)의 단계가 차이나는 이유는?Server에서 FIN 플래그를 전송하기 전에 전송한 패킷이 Routing 지연이나 패킷 유실로 인한 재전송 등으로 인해 FIN 패킷보다 늦게 도착하는
[CS 공부] 22.10.06
시스템 자원 관리각 프로세스에게 하드웨어의 자원을 할당하고 관리한다.응용 프로그램 관리권한 관리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사용자 관리네트워크 관리다른 기계와의 통신 지원사용자 관리OS 사용자별 권한 관리물데네전세표응물리계층 - 데이터를 단순히 전기적 신호로 주고받는 역할데

URL을 입력하면 벌어지는 일
URL을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입력한다.웹 브라우저가 URL을 해석하고, 문법에 맞지 않으면 기본 검색엔진으로 검색한다.문법에 맞으면 URL의 호스트 부분을 인코딩한다.HSTS(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 목록을 확인하고 있으면 HTTPS
3-way handshake & 4-way handshake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통신을 할 때, 두 종단 간 정확한 데이터 전송 보장을 위해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이다. 즉, 상대방 컴퓨터와 사전에 세션을 수립하는 과정이다.SYN : Synchronize Sequence NumberACK : Acknowledge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