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C2

2022-08-09 화요일 저널
내가 진짜로 취약한 커뮤니케이션 상황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상황에서 얼마나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지 깨달았다. 이 상황이 자주 만나는 상황은 아니라 삶에서 큰 문제가 없을 것 같고, 솔루션은 있겠지만 그런 상황을 종종 만나게 되면 제대로 해결할 수 있는 내공을 키워야겠

2022-08-08 월요일 저널
회의를 진행하기에 앞서 목적을 환기하면 회의를 잘 퍼실리테이션 할 수 있음을 깨달았다. 또한 고민은 무엇인지, 대안은 무엇인지를 얘기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회의에 참여하는 구성원들의 메타인지를 높여야 한다. 오늘도 중간중간에 구성원들의 메타인지를 하나씩 확인했는데 중간

2022-08-07 일요일 저널
내가 AC2를 통해 코칭 역량을 키우고 싶다는 니즈를 가지고 있다고 정리했는데, 특히 퍼실리테이션에 대해서 니즈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세 번의 멘토링을 통해서 여기까지 정리되었다. 이제 코칭과 퍼실레티션을 놓고 좀 더 정리를 하면 된다!!슨관 형성 계획을 실행해

2022-08-06 토요일 저널
새로 바꾼 저널 방식(TIL & Action Item) 방식은 생각보다 훨씬 효과적이다. 어제 하려고 했던 모든 액션 아이템을 다 하진 못했어도 이 정도면 기억을 더듬는 것 이상의 효과를 거둔 것 같다. 셀프로 뿌듯하다.어제의 액션 아이템을 보면 이런 것들이 있었는데,

2022-08-05 금요일 저널
동료들과 진행하는 "함께 책읽기"가 잘 되어가고 있다. 켄 슈와버가 쓴 스크럼을 읽고 있는데 재미도 있고, 서로의 사례를 공유한다는 차원에서 점점 많은 것을 배워가는 것 같다. 특히나 오늘은 스크럼의 기저에 깔려 있는 사상, 철학을 읽었는데 정말 유용한 내용이어서 크루

2022-08-04 목요일 저널
오늘도 멘토링을 통해서 진짜 내게 필요한 학습이 무엇인지를 좀 더 알게 된 것 같다. Product manager를 육성하는 코치가 되겠다는 커리어 목표를 가졌으면, 코칭을 잘 하기 위한 훈련을 하는게 맞고, 나의 코칭에 대해서 피드백을 구하는게 맞을텐데 계속 범용적인

2022년 7월 22일 금요일 저널
오늘 AC2 신철님 코칭을 받았는데, 정말 어떻게 하면 이렇게 상대를 편하게 해주면서 대화를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나 알게된 것들이 정말 많았는데..취조실 대화가 시작되면 "즉답을 하는 것보다 지금 상대가 답을 원하는 것인지, 아니면 화를 내고 싶은

2022년 7월 21일 목요일 저널
마음 읽기에서 내가 상대의 마음을 제대로 읽었는지 확인하는 질문은 불필요하다는 신철님의 피드백이 또 있었다. 이건 지난 번에도 피드백 받았던 내용인데, 또 받았다는 점에서 약간 반성 포인트다. 하지만 뭔가 문장을 매듭 짖는 느낌을 내기가 어려워서 이런 질문을 쓰는데,

Work Component of Motivation
팀 워크샵 중, 1부 동기부여 편을 하기 전에 읽기 위한 문서입니다. 원문을 기반으로 추가로 각색을 했습니다. 각색의 목적은 우리 사정에 더 잘 맞는 설명을 하기 위함이며 최대한 원문의 톤&매너를 살리면서 작성했습니다.원문: Organizational Behavior

2022년 7월 15일 금요일 저널
제품을 만들 때, 중요한 점은 내가 다 만들었다고 느끼는 순간이 끝이 아니라는 것이다. 생각보다 제품 릴리즈 전에 해야 할 일들이 많이 있고, 그것들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지 않으면 결국 놓치게 된다. 제품 배포와 관련된 좋은 플레이북을 만들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

2022년 7월 12일 화요일 저널
마음읽기에서 중요한 점은 상대의 감정이나 생각을 읽으려고만 하는게 아니라, 상대의 마음에 공감하려고 하는 것이고 그것을 통해서 더 큰 문제나 진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임을 다시 한 번 느꼈다. 그냥 겐또 찍듯이 마음만 읽어서야 나아지는게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마음읽

2022년 7월 11일 월요일 저널
기억은 언제나 쉽게 사라진다. 기록을 해놔야 기억도 할 수 있고, 그로 인한 실수를 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지금처럼 맥락들이 훅훅 바뀌는 상황이라면 더욱 그렇다.AC2에서 함께 책 읽기가 너무 좋아서, 다음 기회가 있으면 또 참여하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잘 안 된다.

2022년 7월 8일 금요일 저널
오늘도 AC2를 통해서 많이 배웠다. 실제로 정보 방열기를 사용하고 있는 분의 이야기도 들었고, 조직에서 뭔가 미뤄지고 있을 때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들을 잘 배웠다. 특히나 메타포를 통한 공감대 형성을 배웠고, 동의자나 아군만들기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할 수 있었다

2022년 7월 6일 수요일 저널
오늘도 멘토링들을 통해서 많이 배웠다. 한 분의 멘토에게서는 내 피드백이 구체적이지 않고, 말은 맞는 것 같지만 실효성은 없을 수 있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거기에 더해서 정보 방열기 개념을 소개해주셔서 창준님이 진행했던 팟캐스트를 다시 듣고 정보 방열기 개념을 조금 이

2022년 7월 5일 화요일 저널
오프라인데이(사무실 출근)는 정기 미팅(회고, 플래닝)을 하기보다 그냥 자연스러운 대화를 유도하려고 했는데, 그게 성공했다. 그리고 이렇게 작은 미팅을 가지는게 퍼포먼스를 내기에도 더 좋다고 느꼈다. 중요한 점은 "모두가 사무실에서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2022-07-04 월요일 저널
능동적 학습을 알게 되고, 그런 학습을 통해서 배울 수 있는 거리들을 이래저래 고민해보니까 정말 그렇게 할 수 있는게 너무너무 많다. 생각보다 내 학습 방식이 잘못되어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슬프면서도 앞으로 성장할 생각에 두근두근하구나.스크럼 스터디는 책번개 형태로 하

메타인지와 자기주도학습법
이 글은 회사 내부 노션에 작성했던 글을 다시 가져온 글입니다. 또한 이 글의 주된 내용은 이 내용은 그로스 컨설팅 부띠크 리텐션 심규섭 파트너의 페이스북 내용을 보고 작성했습니다. 원문은 아래에 있습니다.요즘 저는 3가지의 학습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첫째, 의도적

2022-06-29 수요일 저널
코칭의 대화를 할 때, 상대방의 마음 읽기만큼 중요한 것은 대화의 분위기를 잘 조성하고 긴장감이 너무 올라가지 않게 조절하는 일임을 깨달았다. 나도 상대도 둘 다 긴장 상태에 있는 것보다 이게 더 낫고, 내 마음이 어떤지를 아는 것이 상대의 마음을 읽는 것만큼 중요하

2022-06-28 화요일 저널
오늘 특별회고는 정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일단 스쿼드 동료들이 본인의 감정을 드러내거나, 모르는 것을 질문하거나, 어려운 상황을 공유할 때 어떤 생각을 하기 때문에 실제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는지 알게 됐다. 그리고 칭찬을 아끼는 현상과 생각 역시 정리 되었는데, 나

2022-06-27 월요일 저널
종합 반영은 여전히 어렵다. 특히나 피코치의 대답이 단답형으로 가기 닫힌 질문일 경우에 특히 더 그렇다. 오늘 동료와의 1:1 미팅에서 어려운 점은 3가지였는데 이것들을 하나씩 조심하면서 해야겠다.종합 반영을 하면서 질문하는 것이 쉽지 않다. 앞의 대답을 들으면서 가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