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Z

9개의 포스트
post-thumbnail

[AWS] AWS Network 이해하기

AWS VPC, Subnet, Internet Gateway 등 기본적인 네트워크 이론 및 구성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2023년 8월 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WS 리전(Region)과 가용 영역 (Availability Zone)

오늘은 Region과, Available zone, Edge location까지 알아보자. 물리적인 컴퓨팅 자원을 클라우드로 서비스로 제공하는 AWS를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이 개념들을 꼭 알아두자. AWS는 전세계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2023년 6월 1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ws 네트워크 구축

AZ(가용 영역)는 AWS 리전의 중복 전력, 네트워킹 및 연결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개별 데이터 센터로 구성됩니다. AZ를 사용하면 단일 데이터 센터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높은 가용성, 내결함성 및 확장성을 갖춘 프로덕션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할 수 있습

2023년 1월 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WS 구조2(가용영역, AZ)

리전이 국가/도시 단위의 지리적 위치라면, 가용영역(AZ)는 각 리전(국가/도시) 안의 데이터센터이다.aws 서버 컴퓨터들이 모여있는 건물이라고 보면된다.AWS의 각 리전안에는 2개 이상의 가용영역을 가지고 있다.또한 각 리전의 AZ 건물들은 위 사진처럼 물리적으로 일

2022년 11월 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WS 구조1(글로벌 인프라, Region)

AWS 글로벌 인프라는 리전(Region), 가용영역(AZ, Availability Zones), 엣지 로케이션(Edge Location), 리전 엣지 캐시(Regional Edge Cache) 4가지 요소로 구성 되어 있다.모든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가장 안전하고 광

2022년 10월 2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WS] Global infrastructure(Region & Availability Zone(AZ))

인프런 - 실습으로 배우는 AWS 핵심 서비스공식 AWS 글로벌 인프라스트럭처공식 AWS 글로벌 인프라스트럭처 Regions_az리전 & 가용 영역(ZIGI 님 블로그)데이터 센터 위키Redundant Power먼저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과 리전(

2022년 5월 22일
·
0개의 댓글
·

[Udemy] Getting start with AWS

해당 정리는 Udemy Section3:Getting start with AWS 강의를 듣고 번역, 정리한 것임

2022년 2월 4일
·
0개의 댓글
·

AWS EC2 Instance 생성 전 용어 알아보기

EC2 Instance 생성하기 전 용어 먼저 알아가보자.리전(Region)은 AWS의 서비스들이 제공되는 서버의 물리적인 위치(지역)이라고 한다.<출처 : AWS(https://aws.amazon.com/ko/about-aws/global-infrast

2022년 1월 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WS 클라우드 Discovery] 02. 확장성과 안정성 높은 서버 만들기

💻 서버와 스토리지 ⚔ 보안과 방화벽 📙 클라우드 용어 🖥 Amazon EC2 🛡 Amazon 보안 그룹(Security Group) 📝Lab1 : EC2와 EBS를 이용해서 나만의 서버 만들기 📝Lab2 :보안그룹 활용하여 보안 강화하기

2021년 7월 10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