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IOS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05
BIOS Basic Input/Output System 메인 보드의 ROM 에 내장된 프로그램으로, OS 중 기본적인 S/W 이자 컴퓨터의 I/O 를 처리하는 펌웨어 컴퓨터 부팅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POST = the Power-On-Self-Test 진행 -> 하드웨어 점검 메인보드에 장착된 여러 부품(CPU, RAM, SSD/HDD, 키보드 마우스 등)을 제어 오류 점검 부팅시 읽어들일 저장장치 순서 정하기 부팅 모드 선택 윈도우 부팅 후 바톤 터치 부팅 모드 Legacy BIOS - 2TB 이상의 대용량 HDD 에서 OS 부팅 및 최신 H/W와 OS와 통합에 한계 발생 UEFI UEFI Unit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최신 PC용 표준 펌웨어 인터페이스 기존의 BIOS 및 EFI 를 대체하는 새로운 유틸리티 BIOS 에서 하드

Window 10 Docker BIOS에러
맥에서만 사용하던 docker를 회사 컴터에서도 사용하기 위해서 설치하였는데 생각지도 못한 에러가 나를 반겨주었다.. 첫번째 해결법 가정 먼저 쉽게 시도해 볼 수 있는 것은 Hyper-v속성이 제대로 켜져있는지 확인해보는 것이다. 윈도우 설정>제어판>프로그램 및 기능>window 기능 켜기/끄기 로 접속하여 Hyper-v 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 Hyper-V 설정을 전부 체크하고 컴퓨터를 재부팅 후 docker desktop에 접속하였는데 여전히 동일한 에러 문구가 뜨고 있었다. 두번째 해결법 BIOS 설정에서 Intel Virtual Technology 설정을 enable로 바꿔주면 Docker Desktop의 해당 에러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BIOS라는 개념
OS/ 부팅 UEFI VS BIOS
운영체제 UEFI VS BIOS 차이 UEFI 정의 : 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장점 : 그래픽과 세련된 인터페이스 2.2TB 이상의 하드 드라이브 지원 시작 및 종료 속도 향상 구성 : UEFI, GPT(EFI Boot loader), Kernel, Operating System 기능 : 보안부팅 네트워킹 기능 지원 BIOS 정의 : Basic Input-Output System 특징 : 16비트 프로세서 모드에서 실행 강요 실행을 위한 1MB이 공간 요구 하드웨어 장치의 한번에 초기화 곤란 ⇒ 거대한 저장용량과 빠른 데이터 처리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함. 2.1TB 이상의 드라이브에서는 부팅 불가 구성 : BIOS, MBR(Master Boot Record), Boot Loader, Kernel, Operating System 요약 : 부팅 좀 할 줄 아
컴퓨터 부팅 과정
📌컴퓨터의 부팅 과정 부팅(Booting)이란 컴퓨터 본체를 누르고 사용자가 시작할 수 있는 상태가 될 때 까지의 과정 컴퓨터에 전원을 공급하고 운영체제 가동 및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을 부팅이라고 함 1. 컴퓨터 전원 ON 컴퓨터의 전원을 켜면 메인보드에 전력이 들어옴(Power ON) 메인보드에 장착된 장치들(CPU, 메모리, 디스크 등)에도 전력이 공급됨 2. ROM BIOS 동작 메인보드에 장착된 CPU가 ROM(Read Only Memory)에 저장된 BIOS(Basic Input/Output System)를 실행 ✔️ ROM(Read-Only Memory) 
운영체제 - 운영체제의 정의, 부트로더, bios, 컴퓨터 부팅
본 포스팅은 kocw 양희재 교수님의 운영체제 강의를 들은 후 작성하는 게시물입니다. 잘못된 개념이나 오류가 있을 시 댓글로 알려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운영체제 1. 운영체제에서 중요한 점 (1) 프로세스 관리 (2) 주기억장치 관리 (3) 파일 관리 2. 운영체제란? >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 HW의 관리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성능 향상, 편의성 제공, 하드웨어 관리의 역할을 함.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window나 mac os, linux 또한 운영체제에 속한다. 운영체제의 동작 과정이나 하는 일을 알아보기 전에 기초적으로 알아야 할 부분을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1) 메인 메모리의 종류 주기억장치로 번역될 수 있는 메인 메모리는 2가지 종류(ram, rom)로 나뉜다. 메인 메모리의 용량 대부분은 RAM으로 쓰이며, 적은 용량은 ROM으로 쓰인다. > (1) RAM : Rand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