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EATE

mongoDB C & R
변수를 저장하기 => var.save()아래 사진의 front 단에서정보를 입력하고 submit! 하면 input data가 라우터를 따라서 아래 서버 postUpload로 전송된다.videoRouter.route("/upload").get(getUpload).pos
CRUD
배열에 데이터 추가하는 방법 .push -> 원본 배열 수정 .concat -> 반환 값으로 새로운 배열 줌 shouldComponentUpdate(newProps, newState) 복제 Array.from(복제할 객체) Object.assign({추가할 내용},

[react] create_contents 변경 , shouldComponentUpdate
console창에 임의의 arr 배열을 정의하였다.차례대로 push함수와 concat함수를 실행했을 때push함수에서는 기존데이터에 변화가 생기고concat함수에서는 기존데이터에 변화가 없는 차이가 눈에 보인다.여기서는 concat함수를 쓰는 것을 권장한다.push함수

[react] create - form, onSubmit
createContent에 form 태그를 넣어서 입력폼을 만들었다.제출버튼을 누르자 alert창이 정상적으로 잘 떴다. 새창으로도 변경되지 않았다.form태그 안에 onSubmit함수는 다음과 같이 이벤트를 만들어준다.이벤트가 잘 나왔는지 App.js에서 consol

[react] create - mode 전환
기존의 content.js를 Read mode라는 것을 확실히 구분하기 위해 파일이름을 readContent.js로 변경하였다. 클래스명도 ReadContent로 변경하였다.기존의 content.js를 복사해서 createContent.js파일을 만든다App.js에 r

[react] create - mode 변경
create, update, delete 부분을 Control 컴포넌트로 묶어본다.App.js)App.js에 Control태그를 두고 onChangeMode라는 속성을 부여한다.onChangeMode 속성 안에 함수를 두고 this.setState를 두고 매개변수에 해

[Airbnb] Create | 숙소 추가하기
숙소명호스트 이름기본 설명위치사진예약가능한 인원방 정보편의시설(추후에 추가)별점(추후에 추가)후기(추후에 추가)예약가능한 날짜추후에 추가할 속성은 값이 계속 바뀌는 속성이므로, 기본 기능 구현 후 추가할 예정이다.한 숙소당 여러개의 편의시설이 필요하며, 각 편의시설도

[MySQL]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생성/확인/삭제(CREATE, DESC, SHOW, DROP)
MySQL에서 데이터베이스와 테이블을 생성하고, 어떤 데이터베이스들이 있는지, 현재 사용중인 데이터베이스에는 어떤 테이블들이 존재하는지, 테이블의 구조는 어떻게 되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TIL_express_상세페이지_02)
action 의 path : 왜 같은 /create 경로로 전송하지??? 접근 할 때 get 방식으로 접근하면, app.get('/create')에 걸릴것이고데이터를 전홀 할 때, post방식으로 접근하면, app.post('/create')에 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