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aos Monkey

운영 이슈 테스트를 위한 CS4SB (1/2)
What is Chaos Monkey? 우리가 서비스를 운영하다보면 간혹 장애가 발생하는 일이 있다. 장애 상황은 다양해 경험했을 수도, 예기치 못할 수도 있다. Chaos Monkey는 운영 환경에서 장애 상황을 가정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약점을 진단하고 보완하기에 시스템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준다. Get Start Chaos monkey는 4단계로 진행하며 방법은 아래와 같다. 시스템의 측정 가능 통계치로 '정상 상태' 정의하기 정상 상태가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유지될 것이라고 가정하기 인프라 장애, 네트워크 지연, 메모리 누수 등 실제 문제들로 변수 정의하기 대조군과 실험군을 비교해 가설 검증하기 실험을 지속하면서 약점을 발견하고 정상 상태를 방해하는
Chaos Monkey
Chaos Monkey 운영 이슈 테스트 실제 로컬에서 발생하는 이슈보다는 운영 환경에서 가끔 발생할 수 있는 이슈들을 확인할 수 있는 테스트 이를 카오스 엔지니어링 툴 이라고 한다 Chaos Monkey for Spring Boot 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에 카오스 멍키를 적용하는 툴 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에 문제를 일으켜서 망가트려서 운영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슈들을 확인한다 Chaos Monkey의 관찰 대상 -> 공격 대상 스프링에 등록 되어있는 빈들 @RestController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Component Choas Monkey의 공격 위에서 보았던 관찰 대상들(스프링에 등록된 빈)의 public 메소드를 사용할 때 아래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도록 공격한다 응답 지연 (Lat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