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deit
[WIL] 3월 3주차 (3/20 ~ 3/26)
TIL 작성 시작기록하는 습관 기르기와 서면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기르기 위해 TIL를 작성하기 시작했다. 개발과 관련된 커뮤니케이션 중에 '문자'로 하는 커뮤니케이션의 비중이 나날이 중요해지고 있다. 글쓰기가 평판에 미치는 영향이 나날이 커져가기 때문이다. 서면 소통을

'머신 러닝' 머신 러닝 기본기
머신 러닝 기계 학습 : 기계가 학습을 통해 발전 머신 러닝 프로그램 : 경험을 통해서 스스로 업무 능력 향상 기계가 학습한다는 건, 프로그램이 특정 작업(T)을 하는 데 있어서 경험(E)을 통해 작업의 성능(P)을 향상시키는 것_톰 미첼

SQL로 하는 데이터 분석
1. 데이터베이스 기본 개념 데이터베이스 : 일정한 체계 속에 저장된 데이터의 집합 데이터 저장 단위 : Table(표) row(행) : 테이블에서의 하나의 개체 column(열) : 하나의 개체가 가지는 속성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2. 테이블 생성하기 DATATYPE ...

'컴퓨터개론' 1.프로그래밍 시작하기 in Python
*2021.06.23 23:06 에 작성한 글 1.코멘트 -주석 처리(#) -복잡한 코드 설명 -하다가 만 부분 표시 -다른 개발자들과 소통 -코멘트 중요! 컴퓨터 = 복잡한 계산기

Git 협업하기
💻Codeit에서 교육하는 커리큘럼을 바탕으로 정리하였다.실제로 개발환경에서 git을 쓸 때 자주 만나게 되는 상황그 상황에서 써야할 커맨드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알아보자.만약 로컬 레포지토리와 리모트 레포지토리가 다른 방식으로 작업될 경우가 실제상황에서 자주

브랜치(branch) 사용하기
💻Codeit에서 교육하는 커리큘럼을 바탕으로 정리하였다.브랜치란 하나의 코드 관리 흐름을 뜻한다. Git은 나무 뿌리처럼 root commit을 시작으로 가지가 갈라지는 나무 모양이라 생각하면 편한데, 가지 하나하나를 브랜치라 부른다. 예를 들면 하나의 프로그램이라

커밋(commit) 다루기
💻Codeit에서 교육하는 커리큘럼을 바탕으로 정리하였다.커밋 히스토리란, 앞서서 작업했던 커밋들을 살펴보는 것을 말한다. 그렇다면 커밋 히스토리를 보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커밋 히스토리를 보면 프로젝트 디렉토리에서 일어난 변화를 한번에 볼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