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 Join

6개의 포스트
post-thumbnail

[MySQL] JOIN 총 정리

내가 만든 예시를 통해 JOIN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프로그래머스 문제 참고하여 간단하게 만듬) BOOK 테이블과 AUTHOR 테이블 [INNER] JOIN INNER JOIN은 보통 조건 ON과 함께 사용되어 두 테이블간 JOIN 조건을 만족하는 행을 반환 (=교집합) ![]

2023년 3월 7일
·
0개의 댓글
·

[SQL] ORACLE JOIN 총정리

오라클에서 조인을 할 때 오라클 조인(Oracle Join)과 안시 조인(ANSI JOIN)을 사용할 수 있다. 오라클 9i 까지는 오라클 조인만 사용할 수 있으며, 오라클 10g부터는 안시 조인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최근 구축되는 시스템은 대부분 안시 조인을 사용하지만, 과거에 구축되어 있는 시스템은 오라클 조인을 많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오라클 조인 방식도 꼭 알고 있어야 한다고 한다. ▲ 안시 조인과 오라클 조인 비교 (INNER JOIN) > 조인 (INNER JOIN) 아우터 조인 (LEFT OUTER JOIN) 아우터 조인 (RIGHT OUTER JOIN) 크로스 조인 (CROSS JOIN) 풀 아우터 조인 (FULL OUTER JOIN) 조인은 크게 위

2023년 2월 2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230126] 멋쟁이사자처럼 AI SCHOOL 8기 [특강] SQL_이범재강사님' 복습

📝Today I learned 🚀 TIL 목차 🚀 >- 조건분기 CASE \- IF JOIN INNER JOIN \- LEFT (OUTER) JOIN \- RIGHT (OUTER) JOIN \- FULL (OUTER) JOIN \- CROSS JOIN >- 예제 오답노트 [특강] SQL 1) 조건 분기 CASE 🌟🌟🌟 🚨 CASE 하나 당 END를 붙임 . CASE 문을 사용하는 경우 약어나 코드를 읽기 쉬운 값으로 바꿔 줄 때 데이터를 범주화 할 때 . . IF 🌟🌟🌟 . 🌟CASE문과 IF문, 둘 중 뭘 써야하지? IF문 : 간단한 조건인 경우 CASE문 : 연달아 예외케이스를 많이 설정해야 하는 경우 특히, 기다 아니다 두가지 경우라면 IF문을 간단히 사용해도 되지만 그 외 경우가 있다면 ELSE

2023년 1월 26일
·
0개의 댓글
·

SQL JOIN(오라클)

정의 다른 테이블에서 원하는 컬럼 정보를 얻어오고 싶을때, 테이블들을 논리적으로 결합하여 컬럼 정보를 얻어옴 1. EQUI 조인 : 가장 일반적인 JOIN. 공통컬럼 존재 특징) 1> WHERE절에서 테이블들의 공통 컬럼들을 동등연산자(=,EQUI)로 비교 2> 컬럼이 일치하는 행에 연결시켜 테이블들을 결합해주는 JOIN 3> SELECT절의 형식은 [테이블명.컬럼명] 형식) SELECT 테이블명.컬럼명1, 테이블명.컬럼명2,... --공통컬럼이 아니면 테이블명은 생략가능 FROM 테이블명1, 테이블명2,.. WHERE 조인조건; 예시)사원번호,이름,급여,부서번호,부서명을 조회하시오. SELECT E.EMPNO, E.ENAME, E.SAL, E.DEPTNO, D.DNAME FROM EMP E, DEPT D WHERE E.DEPTNO=D.DEPTNO; 출력예시> 2.NON-EQUI JOIN: 공통컬럼이

2022년 11월 2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4. def Title (Focus): return H.E.R

1 Combining Tables with SQL FROM에 위치한 Table 'orders'에 Table 'subscriptions'을 합치려면 JOIN을 사용한다. ON은 같은 각각의 Table에 Column 이 같으면 이라는 조건을 넣는다. Where은 ON 에 기입한 각각의 Table에 Column 중 같은 값이 있는 부분을 기준으로 출력한다.

2021년 1월 2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Oracle - 내부조인, 외부조인

참고 2020-08-20-04)JOIN.sql 2020-08-21-01)내부외부조인.sql RDB의 핵심 기능 조회할 컬럼이 여러 개의 테이블에 분산되어 저장된 경우 테이블 사이의 관계(Relationship)을 이용하여 검색할 때 사용 일반join과 ansi join으로 구분 JOIN이 필요한 이유 (사용예시) 테이블을 정제하고 정규화를 시키는 경우 하나의 컬럼에 들어있는 값이 여러 테이블로 나누어져서 저장되게됨 ex. 카트테이블 이용해서 금액계산시 단가는 PROD에 들어있음. 내가 원하는 단가를 PROD에서 꺼내와야함. 조인시 중심테이블을 어느 것으로 할지 선정하는 것이 중요 1. Cartesian Product (ANSI: CROSS JOIN) 사용하지 말것 모든 행들의 조합을 결과로 반환 ex. A 테이블이 100행 20열, B 테이블이 2000행 10열로 구성되었다면 -

2020년 8월 20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