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ta Analyst

Blog Day 5: The Road Not Taken
TIL (Today I learned)Today was a Sunday for me to thank God for the day. I seem to fail to remember how thankful I should and I am when I get to busy
Blog Day 1: Importance of Velog.
I am back to blogging. Read that again. I know I have been back for two times but I missed out on consistently blogging. But today, I wanted to write

DataAnalyst_6. 지표의 필요성과 기업별 지표
기업이 효과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성공이나 성장을 나타낼 무언가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그 정의를 우리는 지표라고 부른다.

DataAnalyst_4. 게임 제작 · 배급사에서 다루는 데이터의 종류와 인사이트
게임 제작 · 배급사에서 다루는 데이터의 종류와 그 데이터로 얻을 수 있는 인사이트 중 몇가지에 대해 알아보고 유추하고, 또 생각을 정리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자.

DataAnalyst_3.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테이블의 이해
데이터가 쌓이게 된다면 분명 어딘가에 저장이 되고 있을텐데 대체 어디에 저장되고 있는걸까?

Data Analyst_2. 데이터 분석 과정을 통해 DA / DS / DE의 차이점 알아보기
데이터와 관련된 커리어를 알아보면 위의 세 가지가 주로 나온다. 명칭도 비슷하고 하는 업무도 비슷해 보이는 Data Analyst, Data Scientist 그리고 Data Engineer. 저들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Data Analyst_1. 데이터와 데이터 문해력
데이터 분석이란 이론을 세우는데 기초가 되는 '자료' 중에서 필요한 부분만 가공하여 '정보'를 얻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기회나 문제의 해결책을 도출하여 더 높은 성과를 이끌어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기초가 되는 것이 바로 데이터 문해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