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v-Ops

Ubuntu Jenkins 설치 GPG error 해결방법
2023년 4월 이후부터 Linux 환경에서 Jenkins 설치 시 발생할 수 있는 GPG error 해결방법.

WebPack(웹팩) 개발 툴
웹팩 데브 서버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유용하게 쓰이는 도구이다.웹팩의 빌드 대상 파일이 변경 되었을 때 매번 웹팩 명령어를 실행하지 않아도 코드만 변경하고 저장하면 웹팩으로 빌드한 후 브라우저를 새로고침 해준다.매번 명령어를 치는 시간과 브라우저를 새로

Nest.js EC2 PM2 환경변수 에러
Node.js에선 pm2 start app.js나 www.js등 서버 실행 코드가 있는 script파일을 실행하면무난하게 pm2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Nest.js를 사용하여 코드를 작성하고 EC2에 업로드 후 pm2를 사용하려 한다면 방법이 다르다.Node.js
도커 컴포즈 - 명시적으로 컨테이너 관리하기
단일 서버에서 여러 컨테이너를 프로젝트 단위로 묶어서 관리docker-compose.yml YAML 파일을 통해 명시적 관리프로젝트 단위로 도커 네트워크와 볼륨 관리프로젝트 내 서비스 간 의존성 정의 가능프로젝트 내 서비스 디스커버리 자동화손 쉬운 컨테이너 수평 확장도
도커 이미지 다루기 - 이미지 경량화 전략
RUN 지시어 숫자만큼 레이어가 늘어나게 됨으로 RUN 명령어를 줄인다.RUN \\ apk add --no-cache bash curl git && \\ git clone https://github.com/course-hero/slacktee /slackt
도커 이미지 다루기 - 이미지 저장
docker save -o OUTPUT-FILE IMAGEdocker save -o ubuntu_focal.tar ubuntu:focaldocker load -i INPUT-FILEdocker load -i ubuntu_focal.tardocker tag IMAGE
도커 이미지 다루기 - Dockerfile
ENV 키워드를 사용하면 이미지 빌드, 컨테이너 런타임에 환경변수를 선언하고 사용할 수 있다.Build Argument 전달ARG 키워드를 사용하면 변수를 선언하고 사용할 수 있다.도커파일에 ARG 키워드를 사용해 미리 변수 선언 방법build 할 때 —build-ar

도커 이미지 다루기 - 이미지 빌드
nginx - 우분투 기반으로 이루어 졌다고 가정web app - nginx 기반으로 이루어 졌다고 가정layer A,B,C - 새로운 변경사항이 위에 쌓이는 레이어 구조nginx는 우분투 기반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layer C 위에 nginx 레이어가 쌓임web-a
도커 컨테이너 다루기 - 로그
$ docker logs container$ docker logs —tail 10 container$ docker logs -f container$ docker logs -f -t containerlog driver = json-file 인 경우에만 해당$ cat /v

도커 컨테이너 다루기 - 볼륨
도커 레이어 아키텍쳐  docker build -t app ./ 명령어를 입력하면 dockerfile이라는 명세파일을 기반으로 빌드가 진행됨 운영체제 레이어 apt 패키지 설치 레이어 파이썬 페키치 설치 레이어 소스코드 레이어 엔트리포인트 레이어 레이어 구조의 장

Docker 네트워크
도커 컨테이너끼리의 통신을 위해서 Docker 네트워크가 필요하다도커 네트워크의 Default 값Docker deamon 생성 시에 docker0라는 bridge가 생성됨각각의 컨테이너들은 생성 시에 고유한 network namespace 영역을 가짐docker0 br

Docker 기초
k8s와 Docker는 함께 컨테이너 어플리케이션을 빌드하고 동작시킨다.Docker는 컨테이너, k8s는 컨테이너 운영에 도움을 주는 오케스트레이션 시스템.API 서버를 통해서 k8s와 통신하는 것컨테이너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오케

Day 35
여태까지 yarn dev해서 우리컴퓨터에서 봤지만따로 서버로 쓸 컴퓨터를 쓰거나 만들어서 yarn dev를 시켜놓고 거기에 접속하면 된다. 근데 결정된 서버를 초과하는 사람들이 들어오면 서버를 늘려야하는데 서버 늘리는게 하루이틀안에 되는게 아니다 -> 그럼 우리가 빌려

GIT-LAB(1)
회사에 제일 처음 들어가서 내가 시작한 것은 dev-ops 구축이었다. 이전까지 써본건 깃허브였고 이제부터 쓸 것은 깃랩을 쓴다는 것 이것 하나만 알고 갔다.여기까지는 문제가 없지만... 문제는 깃랩이 구축이 되어있지 않고 내가 직접 만들어 써야한다는 것이 문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