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vLife

[ DevLife ] CLOUDTYPE
Spring Boot로 서버를 구축하여 배포한 경험은 있다. 대학교 캡스톤 디자인 프로젝트로 Spring Boot 서버를 구축하였고 AWS EC2에 배포하였다. 하지만 무료 사용 기한이 종료되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서버를 무료로 배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했다. CLOUDTYPE 구글에 검색해 보니 CLOUDTYPE이라는 백엔드, 프론트엔드 구별 없이 무료로 배포가 가능하다. 제한은 있지만 개인 블로그로 사용하기에는 충분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 있다. CLOUDTYPE 프로젝트 생성 서버를 배포하기 전에 우선 spring boot 프로젝트를 생성해야 한다. 다음과 같이 초기 설정을 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하였다. 생성한 프로젝트는 깃허브에 저장하였다. 
[ DevLife ] GitHub Repository 병합하기
About GitHub를 둘러보다보니 학생때 학습을 위해 생성한 repository들이 너무 많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이번에 학습용 repository들을 하나의 repository으로 병합하였다. 단순히 프로젝트만 병합하는 것이 아니라 commit log까지 병합하는 방법이다. 새로운 Repository 만들기 우선 프로젝트들을 병합하고자하는 새로운 repository를 생성한다. GitHub Repositories 탭에서 new를 눌러 새로운 repository를 생성한다. Repository 이름을 먼저 정한다. 나는 Study로 이름을 정하였다. Study를 만든 후에 스샷을 찍은거라 이미 있는 repository라고 나온다. 사용 가능한 이름이라고 뜨면 된다. !

[ DevLife ] GitHub 꾸미기
심심해서 다른 사람들의 깃허브를 둘러보다가 나의 깃허브로 돌아오는데 차이가 확연하게 들어났다. Hi! 밖에 없는 나의 README와는 달리 다른 사람들의 README는 여러 정보들로 보기좋게 만들어져 있었다. 그래서 나도 나만의 README를 만들고자 하였다. 소개하기 먼저 나를 소개하는 간단한 글을 작성하기로 하였다. 내가 누구이고 무슨 일을 하고 있으며 목표가 무엇인지를 적었다. 외국인이 볼 수도 있다는 생각에 영어로 작성하였다. 깃허브 방문자 수 가장 많은 사람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이 깃허브 방문자 수이다. 이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서 만들 수 있다. GitHub Hits 나는 깃허브 icon과 함께 올블랙으로 만

[ DevLife ] 블로그 관리하기
개발자 블로그 시작하기 개발자를 준비하면서 여러 지식을 배우고 또 개발자다운 경험들을 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이런 경험과 지식들을 기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어 내 블로그에 기록하기로 하였다. 블로그부터 정리하자 경험과 지식을 정리하고자 하니 이전에 쓰던 블로그 들이 중구난방으로 되어 있었다. 그래서 글의 목적에 맞게 블로그를 분류하여 사용하려 한다. Notion 글 공유가 쉽지 않기 때문에 직접 링크를 걸어놓는 용도로만 공유하고 검색 노출은 기대하지 않기로 했다. 그렇기 때문에 개발 지식을 정리하거나 강의, 교재를 보면서 혼자 공부할 때 기록하는 용도로 쓰기로 결정했다. 예를 들어 어떤 알고리즘에 대하여 설명하는 글은 다른 공유가 편한 블로그에 올리고 알고리즘 코드 정도는 notion에 정리하여 필요시에 한 번에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