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irtyChecking

7개의 포스트
post-thumbnail

[항해99] 230117정규 65일차 TIL

오늘은 API를 열심히 짠 날이다!4개를 완성했는데 시간이 왜 이렇게 금방 갔는지 알 수가 없다. 금방 완성한 API도 있었지만, 도저히 알 수가 없다.API를 짜면서 한 번쯤은 생각해볼만한 것에 대해 작성해보려고 한다.슈~웃!소제목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사진으로

2023년 1월 17일
·
0개의 댓글
·

더티체킹 Dirty Checking

Dirty = 상태의 변화가 생긴 정도 Dirty Checking = 상태 변경 검사

2022년 9월 29일
·
0개의 댓글
·

[JPA] 병합(merge) VS 변경감지(dirty checking)

엔티티를 이용해서 값을 변경(update)할때 아래와 같이 2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이 둘의 차이를 알아보고 어떤것을 쓰는게 더 용이한지 알아보자. (변경감지가 더 유용합니다.) 준영속 엔티티란? 영속성 엔티티가 더이상 관리하지 않는 엔티티이며 이미 한번 persis

2022년 6월 24일
·
0개의 댓글
·

[JPA] Dirty Checking 더티 체킹이란?

Dirty Checking이란 Transaction 안에서 엔티티 변경이 일어나면, 변경 내용을 자동으로 DB에 반영해주는 JPA 특징이다.

2021년 11월 5일
·
0개의 댓글
·

변경 감지와 병합(Merge)

JPA에서 데이터를 변경할때의 기본 메커니즘은 변경 감지(Dirty Checking)변경 데이터를 감지해서 Transaction Commit 시점에 자동으로 Update 한다.

2021년 5월 5일
·
0개의 댓글
·

JPA 더티 체킹(Dirty Checking) 이란?

더티체킹은 Transaction 안에서 엔티티의 변경이 일어나면, 변경 내용을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JPA 특징이다.Dirty Checking의 뜻은 변경 감지 정도로 생각할 수 있다. 즉, 변경을 감지해서 DB에 반영한다.

2021년 5월 5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