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vent Handler

TIL 0314
[목차] React를 배워야 하는 이유 React Component 클래스형 컴포넌트 vs 함수형 컴포넌트 React-Hooks State useState state를 변수로 사용하는 이유 서버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해 state에 담아두기 작성한 내용을

[JS]scrollIntoView event handlers, bubbling & capturing, event delegation, DOM traversing
Implementing Smooth Scrolling scroll 관련 알아두면 좋은 정보들 > * getBoundingClientRect() : relative to visible viewport window.screen : 모니터 size window.outer

[React #4] React 만능키 {props} & Event handler
React Component들이 서로 연결되고 반응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component 값들을 다른 component로 보내주어야 한다. 하나의 컴포넌트에서 다른 컴포넌트로 넘겨주는 값, 정보(information)를 "props"라고 한다. Props propert
Hook 사용예제: usePreventLeave
창을 닫거나 새로고침 하는 등, "beforeunload"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재확인하는 기능을 구현하였다.event속성인 returnValue는 이 이벤트에 대한 기본 작업이 금지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기본적으로 true로 설정되어 있다. "beforeunload

Hook 사용예제: useTabs + 함수형 컴포넌트의 event 처리
+(함수형 컴포넌트의 event를 처리할 때 함수를 호출하는 경우). Tab창을 구현하는 커스텀 훅을 구현해보았다.객체를 return 했을 때 { currentItem, changeItem } = useTabs(1, content); 이것처럼 객체안의 값들을 바로 쓸

TIL4: call, apply and bind
call, apply 호출은 명시적으로 this를 지정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그리고 이 때 첫번째 인자로 전달되는 객체가 this객체가 됩니다.

TIL38: Array-Like Object / Event Object
Object 중에서 Array.isArray() 메소드를 적용해 보면 분명 배열이 아니면서 length 속성을 가지거나 반복문 적용이 가능한 객체들을 Array-Like Object 또는 Pseudo Array(유사 배열)이라고 합니다.이러한 객체들은 Array.fro

TIL 49 | React 이벤트 핸들링 실습 2 (JS코드 React로 바꾸기)
이번에는 메인페이지의 댓글 기능을 React로 구현해봤다. 사실 아직 Props나 State 개념이 제대로 이해가 된 것은 아닌데, 그냥 이것 저것 구글링해보며 먼저 만들어보면 좀 더 감이 잡힐까 싶어서 실습을 해보고 있다.

TIL 48 | React 이벤트 핸들링 실습 (JS코드 React로 바꾸기)
지난 번에 만들었던 인스타그램의 로그인 페이지를 React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구현해보고자 한다.

TIL 44 | React 이벤트 핸들링
addEventlistener를 사용하여 DOM으로 event handler를 추가했듯이, React에서는 React element에 이벤트를 추가해서 event handler 함수를 넘겨준다.

[자바스크립트 스터디]Review - DOM(Document Object Model) Function, Event, Event Handler(=Event Listener), If/Else, And/Or
DOM(Document Object Model)한 페이지에서 자바스크립트로 선택한 건 모두 객체이다.문서 객체 모델(DOM, Document Object Model)은 XML이나 HTML 문서에 접근하기 위한 일종의 인터페이스.1\. html이나 body와 같은 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