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TM

GTM으로 모든 사이트에 적용 가능한 만능 클릭 태그 심기 - 2
안녕하세요. nooreong입니다. 1편에서는 GTM에 이미 있는 기능을 잘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렸습니다. 이전 방법 > [GTM으로 모든 사이트에 적용 가능한 만능 클릭 태그 심기 - 1 ](https://velog.io/@nooreong/GTM%EC%9C%BC%EB%A1%9C-%EB%A7%8C%EB%8A%A5-%ED%81%B4%EB%A6%AD-%ED%83%9C%EA%B7%B8-%EC%8B%AC%EA%B8%B0-1) clickelements와 clicklinks라는 맞춤 이벤트를 생성하고, 각 이벤트를 수집하는 목적에 맞는 매개변수를 추가하는 방법이었습니다. 불완전한 이전 방법 그러나 실제로 clickelements의 이벤트와 clickclass, click_element 매개변수를 조합하여 맞춤 보고서를 뽑아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GA4 - 설치, GTM - tag 생성, 연결 (Google Analytics 4)
Google Analytics 4 > - "웹 사이트 뿐 아니라 앱 이벤트 기반 데이터까지 모두 수집 가능한 툴" 트래픽을 분석할 수 있다(ex.광고를 띄웠을 때 들어온 유입 출처나 그 양을 파악가능). GA4 설치 전 준비 GA4 가입하기 sample data 준비(.html) netlify 가입 1. GA4 설치, 웹사이트와 연결해보기 - html 파일에 gtag.js 심기 > 저장 
GTM으로 모든 사이트에 적용 가능한 만능 클릭 태그 심기 - 1
안녕하세요. nooreong입니다. 여러 경로를 통해 연락 주시는 분들께 GTM과 관련된 조언을 드리다보면, 종종 과하다는 생각이 들만큼 많은 클릭 이벤트 태그가 심어진 것을 발견하곤 합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태그가 3-40개 설정되어있는 것이죠. > clickabutton, clickbbutton, clickmmenu, clicknmenu, ... 물론 이렇게 해도 됩니다. 그러나 제가 생각하기에 위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습니다. 클릭 이벤트마다 별도의 트리거를 생성해야 하므로 너무 공수가 크다. 웹페이지의 요소나 코드 변경에 일일이 대응할 수 없어 관리가 어렵다. 수집하기로 결정하고, 설정까지 한 후에야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 정도의 수고를 들일만큼 개별 클릭 이벤트의 가치가 있는지 의문이다. 그래서 오늘은 GTM으로 만능 클릭 태그를 심는 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쉬운 방법 단 한 줄의 코드 작성도 필요

데이터레이어(dataLayer), 딱 2가지만 알고 끝내기
안녕하세요. nooreong입니다. 오늘은 GA4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데이터레이어(dataLayer)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 - 비개발자 : 이거 찾아보니까 데이터레이어? 그걸로 하면 된다는데요? 자바스크립트니까 다들 아시는 거죠? 개발자 : 데이터레이어요? 그게 뭔데요? 이 코드 넣으면 어떻게 되는데요? 이벤트랑 변수명에는 뭐 넣어요? 보내준 링크 읽어보라고요? 서로가 답답한 상황이죠. 현업에서 데이터레이어를 이해하지 못하면 위와 같은 상황에 직면하게 됩니다. 글을 읽으며 헷갈리시지 않도록 요점을 미리 적겠습니다. 데이터레이어가 푸시될 때 이벤트가 포함되면, GTM에서 이 이벤트를 맞춤 이벤트 트리거로 설정할 수 있는데, 이 트리거에 의해 GA4 이벤트 태그를 실행할 수 있다. 데이터레이어가 푸시될 때 변수가 포함되면, GTM에서 이 변수와 값을 받아올 수 있는데, 이 값을 GA4 이벤트 태그에 매개변수로 설정할 수 있다. 데

UTM 생성기로 광고효율 분석 기반 마련하기
회사의 광고효율성 분석을 위해 광고배너나 페이지에 우리 회사의 특정 랜딩 페이지로 넘어오는 링크를 남기게 된다. 이 때 해당 링크가 어떤 곳에서 생성되었는 지 확인하는 용도로 UTM을 사용하는데, 그 간 일정한 규칙없이 사용하고 있어 분석에 어려움이 다소 있다. 이를 바로 잡기 위해 UTM을 생성하는 규칙이 동작하는 React 앱을 만들었다. UTM에 대한 이해를 시작으로 아주 간단한 React App 을 Typescript로 개발하는 예제라 초보 프론트 엔지니어에게도 도움이 될 것 같다. UTM이란? UTM은 웹 트래픽 추적 및 분석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로, 기존 URL에 추가하여 광고나 마케팅 채널이 어떻게 성과를 거두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케팅 전략을 더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Urchin Tracking Module의 약자로 Urchin Software Corporation이 개발한 Urchin은 구글에 인수되어 Google Analytics의

GA4에서 User ID를 수집하기 위한 GTM 설정법
안녕하세요. nooreong입니다. 지난 글에 이어 이번 글에서는 실제로 어떻게 GTM을 설정해야 GA4에서 User ID를 수집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그냥 따라만 하셔도 설정에는 문제가 없지만, 왜 이렇게 설정해야 하는 것인지 이해하셨으면 좋겠습니다. GA4 구성 태그 웹 사이트와 GTM, 그리고 GA4는 아래와 같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GA4의 구성 태그가 GTM에 설정되고, 웹사이트에 삽입된 GTM 스니펫을 통해 GA4의 구성 태그가 실행됩니다 
GA, GTM 때문에 고생하시는 분들을 위해 velog를 시작합니다.
안녕하세요. nooreong입니다. 스타트업에서 프로덕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맛있는 것도 많이 먹고 다닙니다. 현업에 계신 많은 PM, 마케터 분들이 회사로부터 Google Marketing Platform의 도구들을 적극 활용할 것을 요구 받습니다. Google Analytics, Google Optimize, Google Tag Manager가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그러나 써보면 아쉬운 점이 참 많습니다. 예를 들어 Google Analytics를 쓸 때면 이 값이 맞는지 끝까지 확신이 들지 않기도 하고, Google Optimize는 어떤 유저들이 실험에 포함되었는지 늘 답답하기도 합니다. 물론, Google Tag Manager는 참 잘 만든 것 같습니다. 다른 TMS를 써보지는 않았지만요. 시장에 더 좋은 분석 도구와 실험 도구가 존재함에도 Google의 제품들을 굳이 사용하는 이유는 뭐... 무료이기 때문이겠죠. 다들 아쉬워도 꼭 사용해야만 하는 Goog

Google Tag Manager(GTM) trigger Click Element contains 작동하게 하기
Google Tag Manager의 trigger filter를 기본 제공 변수인 Click Element와 contains로 적용하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글입니다. 구글 태그매니저를 이용할 때 변수 중 Click Element를 이용해야 할 때가 있다. 그런데 해당 변수는 contains trigger가 작동하지 않는다.. 나 같은 경우에는 특정 element click 이벤트를 수집해야 했는데, 해당 element 내의 자식 element 위치를 클릭하면 onClick함수는 정상적으로 실행되지만 자식 element가 클릭된 걸로 인식돼 trigger를 equals trigger나 Click Classes 변수를 이용해 처리할 수가 없었다. 그래도 어차피 자식 element의 Click Element 변수에 parent element가 포함되니까 contains를 쓰면 될 거라고 생각했지만, 계속 제대로 작동하
React 에서 GA 이벤트
보통 사이트에 GA 이벤트 스크립트를 심으면 사이트 유입, 유입소스, 페이지 이동같은 기본적인것은 알아서 해주는데 React 같은 SPA 사이트에서는 실제 페이지이동이 없으니까 PageView 이벤트는 발생하지 않더라. 그래서 일부러 PageView이벤트를 발생시켜줄 필요가 있다. useLocation 으로 url 변경을 감지해서 GA로 이벤트를 보내도록 하고 처럼 라우터 밑에 하나 넣어주면 된다.

구글 옵티마이즈와 구글 애즈 연결하기
https://ads.google.com/home/ >도구 및 설정에서 연결된 계정 클릭 구글 애널리틱스(UA) >상세보기 클릭 활성화 >링크 클릭 클릭하면 활성화 된다. 유니버셜 애널리틱스와 구글 애즈 연결하기 링크와 import 켜주기 
데이터리안이 일하는 법 - 데이터 도구편
안녕하세요! 데이터리안 커뮤니티에 윤선미입니다. 지난 에서는 데이터리안 커뮤니티에서 사용하고 있는 협업툴들을 소개해봤어요. 슬랙을 주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사용하는 이유 화상회의를 위해 Gather.town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멀티툴로서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문서 관리를 위해 노션이 꼭 필요한지 등 다양한 이야기들을 해봤는데요. 궁금하신 분들은 위에 링크를 타고 읽어주세요. 이번 시간에는 데이터리안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도구들을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파이썬이나 SQL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니라 상용툴을 위주로 설명해볼게요. 참고로... 의도하진 않았지만 모두 구글 제품이네요 👀 구글 스프레드시트 데이터를 정리하고 시각화하기에 구글 스프레드시트(엑셀도 포함)만한 도구는 없는 것 같습니다. **SQL로 데이터를 추출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