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 STATUS

6개의 포스트

HTTP Stauts 4xx 에 대한 개인적인 이해

안녕하세요! 4개월차 신입 개발자 Kerry입니다!오늘은 지난 프로젝트하면서 겪은 문제를 간단하게 회고하는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개인적으로 회고하는 내용이라 많은 내용이 누락되고 틀릴 수 있으니 문제가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제가 겪은 상황을 간단하게 재현해봤

2023년 3월 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HTTP 상태 코드

서버에 요청을 보냈을 경우, 서버가 보내는 응답인 http 상태 코드에 대해 알아본다.클라이언트가 보낸 요청의 처리 상태를 응답에서 알려주는 기능으로, 100번대에서 500번대로 나눌 수 있다.1XX : 요청이 수신되어 처리중2XX : 성공을 알리는 상태 코드3XX :

2022년 6월 3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HTTP Status - 상태코드

• 201 Created\-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어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었음을 의미한다.\- 생성된 리소스는 응답의 Location 헤더 필드로 식별할 수 있다.\- POST 요청으로 신규 리소스를 생성했을 때 응답이다. • 204 No Content\- 요청을

2021년 9월 29일
·
0개의 댓글
·

HTTP 상태코드

상태코드는 서버로부터 리퀘스트 결과를 전달한다.클라이언트가 서버를 향해 리퀘스트를 보낼 때 서버에서 그 결과가 어떻게 되었는지 알려주는 것이 상태 코드의 역할.HTTP 상태코드는 RFC2616에 실려있는 것 만도 40종류가 있고 게다가 WebDAV, Additional

2020년 9월 12일
·
0개의 댓글
·

HTTP 상태 코드

진행중인 프로젝트에서 ResponseEntity를 사용하는 중 HttpStatus가 알고 있던 것보다 더 많은 걸 알았다. > 그래서 서버로부터 Request 결과를 전달하는 상태 코드에 대해 공부하려고 한다. 상태 코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request를 보낼 때 그 결과의 상태를 알려주는 것이 상태 코드의 역할이다.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reques...

2019년 8월 25일
·
0개의 댓글
·